섬유담체를 이용한 생물접촉여과 처리기술(Biological contact filtration by fibrous microorganisms support)
- 전문가 제언
-
□ 생물막법은 접촉제 표면에 형성된 생물막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수 처리의 한 방법이다. 이러한 생물막은 영양물질과 세균, 균류, 원생동물, 후생동물이 혼합 존재하는 하나의 생태계이며 이 중 세균이 오염물질의 제거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알려져 있다. 고액분리를 위한 침전조나 슬러지 반송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증식속도가 느린 질산화 미생물 등의 배양에 유리하다.
□ 또한 생물여과 공정은 장치가 compact하여 생물반응기의 부지를 줄일 수 있으며 냄새가 없어 투자비 측면에서 크게 유리하고 운전도 자동화되어 있어 운전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생물학적 처리 외에 여과기능을 가지고 있어 처리수질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 본문은 상수의 원수를 처리하는 프로세스에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담체로 하는 생물막을 사용하여 원수 중의 암모니아성 질소를 질화하고 철이나 망간 및 취기물질을 제거하는 기술을 일본의 한 회사(유니치카사)가 개발하고 그 기술을 실시 예를 통해 설명한 것이다. 하천 표류수와 지하수를 상수로 이용하는 상수처리공정에 섬유상 담체 생물 여과막 공정을 조합하면 일부 고도처리시설의 대체가 가능하고 주입약품 절감 및 배수처리 용이성 등의 장점이 있다고 한다.
□ 이 기술의 특징은 여타 생물막의 담체로 사용되는 발포 polystyrene이나 polypropylene 또는 세라믹 대신에 섬유상의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여 비표면적을 크게 하여 접촉면적을 늘리고 동시에 공극을 최대화하여 통수속도를 크게 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상수용 원수에 적용될 수 있는 공정으로 설치면적, 약품비용 등을 절감하면서 고도처리기능의 대체 효과는 기대되지만 오염도가 높은 유기 폐수에는 적용이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즉 활성오니공정의 대체로는 고려할 수 없다.
- 저자
- Shigeru SUGISAW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33(4)
- 잡지명
- 환경기술(G25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98~302
- 분석자
- 이*옹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