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엑션 21의 개요와 목표(Ecoaction21 outline and view)
- 전문가 제언
-
□ 세계 어느 나라보다도 자주적인 품질관리활동이 중소기업체까지도 정착되어 있고 이로 인한 품질경쟁력이 가장 뛰어난 일본이 이러한 정신을 바탕으로 환경문제까지도 사업장의 자주적인 활동으로 해결하려고 하는데 대하여는 놀라움이 솔직한 심정이고 이 운동이 지난 약 8년간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음은 꼭 과거의 전사적 품질관리활동을 다시 보는 느낌이 든다.
□ 환경보전활동에도 물론 과학적인 지식이나 배경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필수적인 요소이나 범위가 너무 넓고 환경영향이 전 국토에 미치는 경우가 흔하기 때문에 전 국민의 자주적인 참여와 감시가 대단히 중요하며 특히 오염물질을 다량으로 배출할 가능성이 있는 대, 중, 소사업장의 환경경영은 너무 중요하다 할 것이다.
□ 산업현장으로부터의 오염물질발생은 경제발전기에는 강력한 규제를 통해서 관리할 수 있었고 이제는 각 기업의 자주적 관리에 의한 활동으로 많은 진전이 기대될 수밖에 없는데 우리나라도 이러한 자주적인 환경경영활동이 전 기업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모멘트가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은 우리나라의 예를 들면 지방자치단체, 환경NGO, 각 지역에 분산되어 있는 각종 공업단지관계자 들이 일본에서 시작된 Ecoaction 21자주운동의 시작과정과 진행과정 및 앞으로의 계획 등을 먼저 검토하고 이 운동이 먼저 우리나라의 중소규모의 기업체를 중심으로 자생적으로 발족되어 시작되도록 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합니다.
- 저자
- Koichi KAWAN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33(5)
- 잡지명
- 환경기술(G25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34~338
- 분석자
- 한*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