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광화학 대기오염 대책에의 모델 활용(Application of numerical model to the measure against photochemical air pollution)

전문가 제언
□ 오존은 알데히드, PAN, NOX와 같이 광화학 스모그의 대표물질로서 천식과호흡기 질환의 원인물질인데, 우리나라의 금년 여름 고온 건조한 날씨가 계속되면서 오존 발생이 급증하여 오존주의보 발령이 100회를 넘어서 2000년도의 2배를 넘고 있으며 0.122ppm까지 치솟고 있다.

□ 이는 대도시의 인구증가 및 자동차 증가로 NOX와 탄화수소가 급증하고 여기에 고온 건조에 의한 태양 일사량 증가로 광화학 반응이 촉진되면서 오존 발생도 급증하고 있는데, 발생기전이 복합적이어서 선진국도 30여년의 저감 노력에도 불구하고 오존 초과 회수가 계속되는 실정이다.

□ 대책은 오존경보 발령제도로 가급적 외출을 삼가도록 하며, 배출 규제에 장기적 중점을 두고 있는데, 본문에서와 같이 지역특성 등에 의한 변수가 많아서 그 지역의 기상특성이나 조건에 적합한 대책이 필요하게 된다.

□ 이러한 광화학반응 모델은 반응속도 상수나 불확실 요소가 많아서 대기 중의 복잡한 현상을 모두 재현하기는 쉽지 않으나, CBM-Ⅳ, CAL, RADM, CIT모델 등 대규모 수치모델이 많이 개발되어 있는데 결과는 유사해서 오존보다 2차 오염물질 농도에서 약간씩 차이가 있고, 화학반응 계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복잡한 입력자료 확보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 따라서 화학반응식을 간소화시켜서 단순화 한 모델이 보다 현실적으로 유용할 수 있는바, GRS(Generic Reaction Set) 광화학 반응식도 그 한 예가 될 것이며, 보다 예측 정도를 높인 단순 모델이 개발되어 손쉽게 환경영향평가 등에 설득력 있는 자료제시가 가능하게 되길 기대한다.
저자
Katsuhito YAMAGUCHI ; Akira KOND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33(3)
잡지명
환경기술(G250)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21~225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