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배수사업의 현상과 금후의 과제(The situation and challenges of rural sewerage projects)
- 전문가 제언
-
□ 일본도 농촌배수(오폐수의 배수)사업을 1985년도에 시작하여 이제야 처리인구보급률에서 약 39%의 진척을 보이고 있다. 더욱이 2003년도에는 농촌배수사업이 구체적으로 기술된 신토지 개량 5개년계획이 수립되어 52%로 끌어 올릴 계획이다. 이는 농촌 취락지구가 소규모로 매우 광범위하게 분산되어 있어 처리시설의 기술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방대한 예산이 소요됨으로서 지방자치단체는 물론 정부차원에서도 시행하기 어려운 사업이었기 때문이다.
□ 우리나라도 일본의 경우와 크게 다르지 않으나 과거 도시로의 이농화(離農化)가 이제는 도시생활에 지친 도시민들의 유턴 현상으로 바뀌어 점증되고 있다. 국내 농어촌 정비사업의 추진현황을 보면 주거환경개선사업으로 주택개량이나 마을기반시설 정비사업이 주를 이루었으며 마을하수도 사업은 1995년부터 2004년까지 10년간 농어촌 특별세를 근거로 한 사업 중에서 면단위와 마을단위로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하수처리설치 현황은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 처리공법으로는 활성오니법이 유리하나 폭기조에서의 에어레이션(aeration) 등 운전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접촉산화공법이용이 제일 많은 듯 하다. 현재 폭기를 위한 에어레이션도 DO를 자동조절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전력사용을 최소로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이 있으므로 농어촌에 맞는 소규모의 절약형 활성오니법을 개발한다면 농어촌 하수처리공법에 큰 변화를 가져오리라 기대된다.
- 저자
- Hideaki SEKIOK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33(1)
- 잡지명
- 환경기술(G25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7~43
- 분석자
- 백*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