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의의와 배경(Significance and background of risk communication)

전문가 제언
□ 최근 환경부 조사에 의하면 2002년의 유해화학물질 배출량 중 발암물질은 40종으로 5547톤이 되었고, 이 가운데 매우 유해한 1급 발암물질이 1241톤 배출되었는데 상당부분 울산과 여수, 여천지역으로서 앞으로는 주민들에게 유해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제도를 도입 예정이다.

□ 일본은 환경 이외에도 식품안전을 위해서도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을 도입해서 소비자, 수입자, 이해 관계자가 협의함으로서 식품불안을 해소해 가기로 하고 있어서 다른 부문으로도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 우리나라도 최근 불량만두 파동으로 기업에 대한 신뢰저하에 따라 소비자 기업 모두 불신에 싸여 있어, 리스크에 관한 한 기업의 윤리의식과 함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 이러한 리스크 관리 나아가서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에는 본문에서와 같이 협동원칙과 주민 참여가 필요하지만, 주민과 기업으로서는 리스크는 생산자 책임으로서 새로운 윤리에 대한 지평을 넓혀야 할 것이고 법제도적인 뒷받침도 필요할 것으로 본다.

□ 또, 기업은 많은 이해집단과 관련하여 활동하게 되므로 신뢰적 책임이 더욱 요구되어 윤리경영에 나서게 되고, 이러한 안전과 편익에는 당연한 비용 논의도 되어야 하는바, 전체적인 사회 구성원들의 이해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 우리도 이젠 성숙사회로서 환경에 대한 규제 벌칙보다는 계몽 유도 방향으로 하여, 자주적으로 환경에 기여할 수 있도록 법과 제도 측면에서 지원하고 NGO를 비롯한 국민들의 적극 참여 분위기가 더욱 요구된다.
저자
Atsunori ISOMUR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33(4)
잡지명
환경기술(G250)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55~259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