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고속이동체 통신방식 TD-SCDMA([TD-CDMA] and Chinas [TD-SCDMA] Compete for Mobile ADSL)
- 전문가 제언
-
□ 모바일 브로드밴드라는 새로운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무선통신방식에 대해서 관련 업체들이 제안한 방식을 표준으로 채택하려는 노력들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NTT 커뮤니케이션이 TD-CDMA, Siemens Japan이 중국에서 제안한 TD-SCDMA, E-Access가 TD-SCDMA의 개량판인 TD-SCDMA(MC)를 제안하고 있다. 이것은 기지국과 모바일 단말기 제조업체들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고려해볼 때 매우 중요한 사안임에 틀림이 없다.
□ TD-CDMA는 TD-SCDMA에 비해서 고속통신이 가능하다. 이는 TD- SCDMA가 고속통신보다는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식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거대한 중국시장의 매력 때문에 TD-SCDMA 방식을 채택하려는 업체들도 많다. 통신사업자들은 가능한 한 광대역 서비스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것이 안전하고 유연한 서비스 제공에 유리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또한 향후 사용자들은 고속통신을 더욱 필요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런 점들을 고려해 볼 때 통신사업자들은 TD-CDMA가 더욱 유리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 그러나 어느 방식이 TDD 표준방식으로 채택될 것인지는 현재는 알 수 없으며, 이를 두고 제조업체와 사업자들은 치열한 경쟁을 계속하고 있다. 일본에서의 TD-CDMA 실험도 이러한 전략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최근 국내의 대기업에서도 TD-SCDMA에 대한 필드실험을 실시함으로써, 향후 새로운 3G 표준규격이 채택될 때를 대비하여 이에 대한 준비를 착실히 진행하고 있다.
- 저자
- NOZAWA Tethu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4
- 권(호)
- (867)
- 잡지명
- Nikkei electronics(F26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67~76
- 분석자
- 양*승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