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아리아께 바다의 영양염 환경과 김 양식(FEATURE) The Scientific Implications of Ariake Bay Issues and Its Historical Details : for Scientific Understandings of Ariake Bay Issues : Nutrients and Nori Culture in Ariake Bay : What could be the Cause of Poor Crop

전문가 제언
□ 우리나라도 최근 들어 남해안 청정해역 곳곳에 대규모 적조 발생으로 김 양식을 비롯하여 양식장에 큰 피해를 주고 있고 이는 해마다 반복되고 있다.

□ 이외에도 해안선이 길고 굴곡이 심하여 하천과 바다가 만나는 에스츄어리 지역이 많은 우리는 육지 내 호수 등의 부영양화에 의한 녹조와 함께, 최근 인천 앞바다와 남해안에 대규모 적조가 출현하는 등 바다 생태계 변화가 매우 민감해지고 있다.

□ 현재, 원인으로는 강물에 의한 영양분의 대규모 바다로 유입, 계속된 맑고 더운 날씨로 인근 바다 표면수온의 상승(22~25℃)으로 영양 염이 급증함으로서 적조가 대규모로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김 양식 등에 직접 피해를 주고 있는데, 아직은 효과적인 대책이 없어서 황토를 바다 위에 뿌려 중화시키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 이러한 영양 염류의 순환은 플랑크톤과 더불어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어서 농도변화와 입자형태의 전환 이동으로 크게 영향을 받고 있는데, 특히 퇴적층이 영양염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과 같이 우리나라도 연안해역의 수질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부영양화 모델과 3차원 수치모델을 활용한 합리적인 해양 환경관리가 필요하다고 보며, 다만 새만금의 오염부하 정량평가 등과 같이 COD, DIN, DIP의 실측값과 계산 값의 오차가 있게 되면 검증을 하도록 해 줘야 할 것이다.

□ 현재, 새만금 간척사업 문제로 국론 분열이 우려되고 있는 만큼, 갯벌의 영양염류 순환과 자연정화 기능 등 경제적 가치도 재평가하고 개발이익도 평가하여 합리적 방안이 도출되었으면 하며, 바다 생태계 변화는 장기간에 걸쳐서 변화하므로, 차제에 연안해역에 대한 체계적 조사 및 데이터 축적이 이뤄져서 해양환경관리에 체계화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저자
Tamiji Yamamoto ; Osamu Kawaguch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27(5)
잡지명
수환경학회지(F093)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93~300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