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설비진동 진단 시스템

전문가 제언
□ 진동진단 시스템 과 정보교환으로 밀접히 관련하는 다른 시스템을 포함해서 그 접속개요를 표시하는 보전·설비관리 시스템 구축 예의 계통도는 여기서 생략하지만, 대상기기의 온라인 진동 진단정보와 절연 진단 정보, 오프라인 진동진단 정보를 PDA 단말 (진동측정)정보와 모바일 단말 (점검 정보)정보 등을 설비진동진단 서버로 정보를 보내고, 배관라인에서 DCS나 PLC에서 얻어져 Plant Master/D를 경유해서 프로세스 진단정보가 구내LAN을 통해서 설비진동진단 서버 (순찰서버 겸용 가능)로 취합되는 진동진단 시스템이 소개되고 있다.

□ 진단·감시 기술은 설비보전을 위해 중요한 기술로 점점 진화의 정도를 강화하고, 고성능의 진단기능, 고도한 감시기능이 한동안은 가속도적으로 출현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기술개발에는 주력을 계속하고, 진동진단은 물론, 진동이외의 정보에서 이상(異常)진단에 있어서도 취급해갈 예정으로, 특히 프로세스 진단기술에 있어서는 사용자뉴스와 노하우(Know How)의 취입도 포함해서 개발을 추진해간다.

□ 현장의 열악한 작업환경이나 대량의 대상기기, 대량의 데이터 채취 등 으로 작업자의 기력을 빼앗고, 작업효율을 나쁘게 함과 아울러, 데이터 채취를 할 수 없는 점에서 이상검지를 할 수 없고, 조업 트러블을 불러오는 경우도 많다. 이 경우에는 온라인 진단 시스템의 도입에 의한 자동데이터 수집과 진단·감시를 행함으로써 해소한다.

□ 전부터 설비·기기의 진단기술로, 진동 진단이 많이 사용되었고, 동력설비, 철강프로세스라인, 유틸리티설비, 초지기설비, 각종제조설비 등, 산업분야에 널리 채용되고 있다. 진동 데이터를 해석해서 이상을 진단하는 기능과 진동데이터의 천이를 감시해서 그 경향으로 이상을 진단하는 기능을 사용해서, 기기의 이상을 고장 전에 검지해서 안전조업을 확보하도록 설비진동 진단시스템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저자
Kojiro Ito, Naoki Fujiwar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4
권(호)
32(7)
잡지명
계측기술(E282)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1~7
분석자
남*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