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수명주기의 시뮬레이션(Product Life Cycle Simulation)
- 전문가 제언
-
□ 제품수명주기에 대한 전산화된 프로그램을 보면 2003년 소개된 IBM의 PLM Solution에서 소개된 것과 취급하는 내용이 상이한 것은 같은 용어의 PLM(Product Life Cycle Management)이지만 PPR(Product, Process, Resources)에 대한 시장조사 및 MRP, 구매조달, 재무 및 보수 등에 대하여 가상의 PPR를 창조시켜 나가는 체계를 가지고 있는 점이다. 설계를 실시함에 있어서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포함해서 PDM, BOM도 구현할 수 있고,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부품간의 간섭이나 작동을 가상의 화면에서 목업(mock-up)을 시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작업이 원만하게 성취할 수 있고 역설계의 경지에 있다. CATIA와 같은 3차원 설계 시뮬레이션이 주가 된다.
□ 요약문에서 취급한 PL(제품수명주기)는 사용에 따른 제품수명 전체를 목표지표를 설정하고 내구수명을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지표를 각각의 옵션을 선택하는 매개변수를 대입하여 수명을 산출하고 또한 수명주기비용(LCC)과 수명주기평가(LCA)를 통하여 목표평가를 구사할 수 있다.
□ 남은 과제로 열화에 대한 평가 및 사용고객의 태도에 대한 평가를 어떻게 설정하는가는 매우 중요한 문제로 남게 된다. 또 한 가지는 구성부품의 내구수명의 산정이다. 공급회사가 주장하는 객관적 평가를 신뢰하는 문제와 함께 공인기관의 인증제도도 함께 다루어야 할 것으로 생각 한다. 현실적으로 신제품 출현이 매우 빠르기 때문에 물리적 수명 보다 기능 수명이 훨씬 짧아 이에 대산 수명 계산의 어려움도 적지 않다.
□ 사례로 소개된 Umeda시스템의 특색은 LCA와 비용관계를 가지고 환경부하의 평가를 실사한 평가모델이며, Murayama시스템은 재료흐름모델과 수지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 모델, 재고관리를 나타내는 모델로 되어 있다. 다른 분야로서는 열화에 의한 기능저하, 고장예측 모델도 있지만 아직 통합된 모델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
- 저자
- Shozo TAKAT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43(5)
- 잡지명
- 계측과 제어(E10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395~400
- 분석자
- 마*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