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사이클을 지향한 환경경영관리 기법 - LCA부터 LCC 및 LCM까지-(Perspectives of the Life-Cycle Oriented Method of Environmental Management : from LCA to LCC and LCM)
- 전문가 제언
-
□ 라이프사이클 관리(Life Cycle Management)는 설계된 제품 라이프사이클을 실현한 후에 각 공정의 흐름이나 제품의 상태를 관리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여기에는 공급 체인 관리, 로지스틱스 관리, 사용자 지원, 사용이력 관리, 보수유지, 업그레이드, 생산·역생산 관리, 화학물질 관리 등이 포함된다. 그러나 여기서는 라이프사이클 관리를 LCA와 LCC를 중심으로 한 환경평가와 경제성평가를 통합화하려는 것으로 정의를 내리고 있다. 혼돈할 우려가 있다.
□ 여기서는 라이프사이클 평가(LCA)에 대해 그 상세한 내용을 해설해주지 않고 있다. 라이프사이클 평가는 라이프사이클 설계의 최종 단계에서 실시하는 것으로, 제품 라이프사이클 전체의 환경조화성과 경제성, 재료수지 등을 평가하는 기술과제이다. 이와 관련된 것으로 재사용과 보수유지 등 루프를 포함한 라이프사이클을 정확히 모델화하여 제품군으로서의 라이프사이클 전체의 균형과 환경조화성을 평가하는 기법으로서 라이프사이클 시뮬레이션이 있다.
- 저자
- Norihiro Itsub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4
- 권(호)
- 43(5)
- 잡지명
- 계측과 제어(E10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407~414
- 분석자
- 차*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