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마그네슘 합금의 고기능화 재료기술에 관한 실용화연구(Materials processing of high-performance magnesium alloys)

전문가 제언
□ 마그네슘 합금은 비중이 철의 1/4, 아연의 1/4, 그리고 경량화 합금의 대표격인 알루미늄의 2/3로서 실용합금 중에서 비중이 가장 작고 비강성이나 비강도가 좋아 자동차와 항공기 등의 경량합금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다. 그러나 마그네슘 합금은 부식 환경에서 내식성이 떨어지고, 합금의 경도가 낮아서 마모와 마멸이 일어나는 작업분위기에서 내마모성이 낮아서 구조재료로서 이용이 매우 낮은 실정으로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합금화를 이용한 복합화 기술과 온간성형기술 등에 관한 연구개발이 선진각국을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자동차와 같은 수송용 구조물의 경량화를 위해 마그네슘 합금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용접/접합 성을 확보하는 기술개발이 뒤따라야 한다. 「복합화 기술」로 제작되는 입자 분산형 마그네슘기 복합재료의 특성상 고온으로의 급속가열과 급랭을 겪는 아크용접 대신에 고상접합기술과 연계되는 접합공정의 적용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되며, 최근에 많이 소개되고 있는 레이저-아크 용접, 마찰교반접합, 마이크로 조이닝 등과 같은 첨단 용접/접합기술에 대해서도 용접/접합성의 평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마그네슘 합금의 낮은 용융점, 산소와의 빠른 친화력, 취약한 금속간 화합물 등과 같이 용접에 제약을 주는 요소들을 고려하여 용접/접합 성을 일정수준으로 갖추는 마그네슘기 복합재료의 개발과 이에 수반하여 복합재료의 용접/접합시공 기술의 개발을 소재 제작사와 수요자가 함께 참여하여 종합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 자동차와 전기 · 전자 분야의 국제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부가가치가 높은 초경량 마그네슘기 복합재료의 국내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University of Tokyo에서 제공한 Mg2Si 입자 분산형 마그네슘기 복합재료인 MgSiX의 특성에 대한 기술 정보는 향후 마그네슘기 복합재료의 국내 개발을 위한 연구 활동에 좋은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Katsuyoshi KONDOH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54(5)
잡지명
경금속(E053)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87~191
분석자
김*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