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대응 건축용 도료에 대하여
- 전문가 제언
-
□ 도료의 주성분은 도막 형성 성분인 전색제(展色劑)와 안료 성분으로 되어 있고 전색제는 투명 도료로서 안료 등을 분산시켜 도료에 유동성을 주는 성분이며 안료는 도막에 색체를 주는 성분이다. 도료의 분류는 분류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는데 크게 수성 도료와 유성 도료로 분류한다. 수성 도료는 유기 용제 대신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경제적이고 취급이 간편하며 안정성이 있다. 건물 벽의 도장이나 석재용 바탕 도료에 사용되며 에멀션 도료와 수용성 베이킹 수지 도료 등이 있다. 유성 도료는 기존부터 사용되어 온 주로 천연 유지 등으로 제조되는 전색제를 이용하는 도료로 옻칠, 캐슈 계 도료, 유성 페인트, 유성에나멜 등이 있다.
□ 최근에는 합성수지계 도료가 개발되어 그 용도가 급속히 확대되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 확대에 따른 환경 문제도 수반되고 있다. 주요한 합성수지 도료의 종류는 알키드 수지 도료, 아미노 알킬 수지 도료, 아크릴 수지 도료, 페놀 수지 도료, 에폭시 수지 도료,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도료,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도료 및 폴리우레탄 수지 도료 등이 있다. 도료 중에 40% 이상 포함된 광학 스모그의 원인 중의 하나인 유기용제(有機溶劑)의 사용 감소를 위해 분체 도료와 자외선 경화와 전자선 경화 형 또는 수용매형 도료가 증가할 전망이다.
□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도료 분야에서도 실내 환경 대응에 대한 문제가 중요하게 되었다. 포름알데히드 등의 실내 환경오염 화학 물질에 의한 시크하우스나 시크스쿨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실내에 유해 VOC(휘발성유기 화합물)을 방출하지 않는 내장 건축 재료와 도료의 사용이 요구되고 있다.
□ 본고에서는 VOC가 작은 수성 염료 중의 하나인 환경 대응형 도료로 Dai Nippon Toryo Co.가 개발한 “Novoclean” 시리즈제품에 대해서 소개하고 이 제품의 용도와 장점 특히 환경적인 우수성을 설명하고 있다. 향후 실내든 실외든 환경 친화적인 도료로 저 VOC 또는 초저 VOC 도료의 사용 확대가 법 규제에 대처하기 위해서도 증가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 합당한 도료가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 저자
- Mitsuhiko ASAKUR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660)
- 잡지명
- 도장과 도료(C06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6~40
- 분석자
- 오*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