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휘발성유기화합물 대책도료에 대해서

전문가 제언
□ 휘발성유기화합물(VOC)에 대한 정의는 비슷하지만, 국가별로 조금씩 차이를 두고 정의에 따라 그 배출을 규제하고 있다. 미국은 대기 중에서 광화학 반응에 참여하는 물질 중에 별도로 정하는 물질과 광화학 반응에 대한 영향이 무시될 정도인 유기 화합물은 법 규제에서 제외시키고, 20℃ 1기압에서 증기압이 0.1mmHg이상이 되는 유기 화합물을 VOC로 간주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유기 화합물 중에 원유, 가솔린, 나프타 및 항공 터빈 연료유4호, 기타 단일 물질은 1기압에서 비점이 150℃ 이하인 물질과 혼합 물질은 1기압에서 전체 5%의 유출이 150℃ 이하인 물질을 VOC라 규정하고 있으며, 이 중 광화학 반응성이 낮은 화합물은 제외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탄화수소류 중에 레이드 증기압이 10.3kPa 이상인 석유 화학 제품, 유기용제 기타 물질로서 환경부 장관이 관계 중앙 행정 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고시하는 물질로 정의하고 있으며 벤젠, 부타디엔, 휘발유 등 37개 물질과 제품을 규제 대상으로 하고 있다.

□ VOC는 시크 하우스(sick house)나 시크 스쿨 등의 원인 물질로 문제가 되고, 옥외에서는 광화학 반응의 원인 물질로 문제가 되고 있다. 도료업계에서는 건물과 자동차용의 도료 출하량의 증가에 따라 대기 중에 배출되는 VOC도 많아진다는 것을 알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해서 도료 제조업계에서는 적극적인 기술 개발과 국가의 법 규제에 적용되지 않는 개선책이 추진되고 있다.

□ 본고에서는 건축용 도료를 취급함에 있어, 국가의 VOC에 대한 규제와 이에 대처해서 환경 대응 제품의 수성계 도료 기술에 대해서 도료의 종류와 용도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위에 서술한 바와 같이 VOC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이에 대한 기준을 정하여 규제를 하고 있으며, 이러한 규제 대상에 벗어나기 위해서는 VOC 저 배출물질 개발이 조속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저자
Akihiko OOMOR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660)
잡지명
도장과 도료(C066)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8~23
분석자
오*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