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건축재료 성능 평가법의 현황과 자세

전문가 제언
□ 건축 재료는 목재, 석재, 콘크리트 재 등의 기초재료부터 산업의 발전에 따라 각종 합성재료에 이어서 신소재에 이르기까지 발전을 거듭하여 인간의 주생활을 윤택하게 하고 있다.

□ 이러한 다종다양한 재료에 따라 성능의 통일을 기하기 어렵고 특히 성능평가 방법도 많은 차이가 있거나 신소재 경우 확립이 안 된 경우도 많게 된다.

□ 바닥재는 기본적으로 탄력성과 내구성, 내화성이 요구되고 청소가 용이해야 하지만, 건물의 용도에 따라 건축공사 표준시방서에는 바닥공사에 대한 시방을 명시하여 최소한의 성능과 품질유지를 기하고 있다.

□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은 건물 바닥재를 중심으로 재료의 성능평가에 대해 방법과 구비요건을 강조하고 있어, 개별 재료의 성능이 결국 전체 건축물의 성능과 연결된다는 점에서 참고 될 만 하다고 본다.

□ 우리나라도 3층 이상 연면적 500㎡이상 건축물은 KS자재 사용을 의무화하고, 내화구조 관련 KS기준을 강화하는 등 건축 재료의 성능이나 규격에 크게 관심을 보이고 있다.

□ 일본은 최근 건물의 건강진단시스템까지 개발해서 노후도, 기능성, 안전성, 환경성과 함께 경제성 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상품화하고 있다.

□ 많은 건축 재료를 KS로서 규격화하여 제도의 틀 속에 넣고 있으나, 아직 성능의 정량화와 함께 성능평가에 대해선 우리도 미흡한 부분이 있으므로, 관련 학회와 제조사 그리고 건축수요자의 일치가 필요한 시기가 되었다고 본다.
저자
YOKOYAM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35(5)
잡지명
방수저널(B514)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3~38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