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작기계에서 가공 리드타임의 단축
- 전문가 제언
-
□ 금형이나 부품 같은 기계가공업은 다품종 소량생산으로서 생산성 향상과 절삭율 향상이 필요하고, 아울러 고품질, 저원가도 지향해야 하는 현실이다.
□ 따라서 이를 위한 공작기계는 고속가공을 추구하게 되고, 자동화를 실현하며 리드타임의 단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이에 따라 NC 공작기계도 센서에 의해 공구나 공작물의 상태 점검이 가능하게 되고, CAM에 의해 도면 내용이 좌표로 바로 입력되는 자동공구교환장치(ATC) 등이 개발되고 있으며, 머니싱 센터까지 개발됨으로서 24시간 무인운전 공장을 추구하고 있다.
□ 본문에서는 기계 가공 시 값비싼 3차원 측정기인 CMM을 쓰지 않고, 가공과 품질관리를 병행할 수 있고 리드타임 단축을 위한 기계가공 응용 소프트웨어의 개발 상황을 잘 소개하고 있다.
□ 공작기계는 한 나라의 기초산업으로서 기술개발 및 이전이 매우 어려운 사항이지만, 우리나라는 현재 CNC선반, CNC보링, MC 등 CNC 전반에 걸쳐서 기술을 독자 개발하여 수출에까지 이르고 있다.
□ 다만, 이러한 공작기계도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의 표준화가 매우 중요하여 공작기계 호환성을 위한 상 하위 인터페이스도 필요하고, 호환가능 응용소프트웨어가 있어야 하는데, 아직 해외 선진 몇 개 업체가 독주하고 있는 상황이다.
□ 우리도 현재 발달하고 있는 IT기술을 공작기계 분야에도 접목시켜서 응용소프트웨어의 국산화에 이를 수 있다면 수출산업으로서 전망이 밝다고 보여 진다.
- 저자
- OTA Nori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45(6)
- 잡지명
- Tool engineer(B23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42~47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