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 고정밀도의 3차원 광학식 디지타이저
- 전문가 제언
-
□ 디지타이저(digitizer)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형식으로의 변환 장치로서, 주로 CAD 도면에 좌표를 입력하는데 사용한다.
□ 최근엔 모두 레이저에 의한 디지타이징 기술로 바뀌면서 간단한 이차원의 광마우스에서 지금은 3차원의 입체 조각에까지 활용하고 있다.
□ 입체 조각은 디지털 복제 조각이라고도 하며, 레이저 측정으로 점군(point group) 데이터를 얻고, 여기서 다각형 모델을 생성한 다음 표면 모델을 만든 후, 이를 3차원 CAD에서 읽어서 처리되고 있다.
□ 이러한 3차원 복제 기술은 입체 조각, 컴퓨터 시트 커팅, 3차원 프린터, 의료용 치형이나 인공관절, 가상현실, 게임, 애니메이션, 맞춤 신발 및 문화재 복원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 현재, 산업용으로는 CAD/CAM/CAE 및 제품의 치수 검사에 이용되고 있으며, NC 공작기계와 연계되어 금형 제작에도 활용되고 있다.
□ 이러한 3차원 스캐닝 기술로 수년전 인물 형상을 스캐닝하여 얼굴상을 조각하는 특허 기술이 개발된 사례가 있고, 이 3차원 조각 기술은 해외로 수출까지 성사되고 있다.
□ 일본 GOM사는 3차원 스캐닝 기술을 자동차 금형 제조에 적용한 것으로, 기술의 특화 상품화 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고 본다.
□ IT 기술이 꽃피우고 있는 우리나라로서는 3차원 스캐닝 기술을 접목시켜서 보다 특화된 상품 개발이 각 분야에서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이를 가능케 하는 3차원 소프트웨어의 국산화에까지 이어진다면 원천 기 술의 확보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 저자
- KIMATA eij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45(6)
- 잡지명
- Tool engineer(B23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30~35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