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보안
- 전문가 제언
-
□ 21세기 지구촌 정보화 사회에 들어서면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 융합이 본격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방송, 통신, 정보, 문화 등 전통적 개념의 매체들이 상호 혼재되는 디지털 복합화(digital convergence)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인터넷 기반의 일상 활동 속에서 음성과 데이터의 통합, 다양한 특성의 멀티미디어와 동영상 서비스 등을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제공받을 수 있는 환경, 즉 새로운 차세대 네트워크(Next Generation Network) 시대로의 진전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 이러한 인터넷 환경은 첨단 정보사회 구현의 중요한 인프라로서 생활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는 반면,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개방형 네트워크 환경으로 인해 악의적인 해킹, 바이러스 유포, 지적재산권의 침해, 사이버 범죄 등과 같은 역기능적인 측면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 최근 급속히 전개되고 있는 전자상거래의 활성화는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의 기술을 향상시키는 계기를 마련함과 동시에 역기능을 방지하기 위한 보안 서비스 등 여러 가지 메커니즘들을 개발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또한 최근의 인터넷 보안 시스템은 정보통신 환경 변화에 따라 개별 보안기능별 제품에서 방화벽/VPN, 침입방지 시스템과 같은 통합보안 형태의 제품으로 발전하고 있고, 네트워크 차원의 정보보호 서비스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네트워크 침입탐지 시스템이나 네트워크 바이러스 백신 등과 같은 제품이 등장하고 있다.
□ 인터넷 보안에 관한 내용은 모든 것을 다루기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그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을 것이며, 해커나 내부 사용자에 의한 보안 침해가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는 시점에서 개인이나 조직, 나가서 국가의 주요 시스템을 방어하기 위한 적절한 보안대책이 절실하다 하겠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스팸메일이나 보안 침해가 만연하다는 불명예를 털어낼 수 있도록 법․제도적인 절차뿐만 아니라 네티즌 자체의 의식향상을 통해 인터넷 선진국, IT 강국이라는 강점을 이어나가 국가 경쟁력을 더욱더 향상 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 저자
- Editor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4
- 권(호)
- 101(2)
- 잡지명
- 발명(A835)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5~24
- 분석자
- 김*명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