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BWR에서 과도적인 비등천이 후의 연료건전성 평가연구의 과거, 현재, 미래(The Past, Present, the Future for Fuel Integrity Study under Post Boiling Transition of BWR Power Plants)

전문가 제언
□ Post-BT표준의 장래의 형식으로는 현재 연료 피복관 온도와 드라이아웃 시간에 의해 규정되는 판단기준에 대해서는 대폭의 변화는 없다고 생각되지만 그것들을 평가하는 해석 방법에 대해서는 앞으로의 큰 발전이 예상된다. Post-BT표준에 관련이 깊은 안전평가의 분야에서는 가까운 장래에 통계적 안전평가방법의 도입이 검토되어야 하겠다.

□ 연료 건전성의 관점에서도 새로 도입되는 연료의 고연소 영역에서의 거동 등 현시점에서는 거론되고 있지 않은 문제에 대해서 필요에 따라 논의하고 수시로 재검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최적평가용의 상관식을 개발할 때에는 지금까지 주로 실험결과에 의존된 상관식의 개발로부터 계산기에 의한 해석을 원용한 개발(design by analysis)로 크게 변천해 가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계산기성능의 향상에 의해 종래 기술로는 예상할 수 없었던 영역까지 해석기술이 진보하고 있다. 따라서 장래에는 보다 고도화된 서브 채널 해석이나 연료집합체 내의 유체 거동의 직접 시뮬레이션에 의해 실험의 데이터베이스를 확대하여 상관식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 기대된다.

□ 한국에서도 한국원자력학회가 표준이나 기준 제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앞으로 원자로의 안전성확보에 기여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저자
Kaichiro MISHIMA ; Shinya MIZOKAMI ; Yoshiro KUDO ; Seiichi KOMURA (etc.)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4
권(호)
46(5)
잡지명
일본원자력학회지(A155)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332~338
분석자
문*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