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수산화아파타이트 인공골의 개발과 실용화 : 인공 치근에서의 출발

전문가 제언
□ □ 국내에서도 수산화아파타이트에 대하여 대학의 연구실 및 연구기관에서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 중이며, 특히 인공치근이나 치아에 일부는 적용되고 있다. 즉 인공치근(implant)에 적용하고 있는 재료는 Ti재질과 수산화아파타이트를 임플란트 표면에 코팅한 것으로 구분된다. 그런데 인공치근 외에 인공 골(두개골, 이소골, 골보전재) 등의 연구보고는 거의 없는데, 국내에서는 의과대학이나 의료기관과의 임상실험 등의 공동연구가 부진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 수산화아파타이트는 인산칼슘계의 화합물인데 동물의 체내에 뼈의 형태로 존재하며, 골(뼈)은 무기물질이 주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주요한 세라믹스재료이기도 하다. 그래서 수산화아파타이트의 형상(기공률, 비표면적, 입경)에 의해서 흡착능력의 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흡착능력을 활용하여 단백질이나 각종 전염병의 매체인 바이러스 및 공해 주범인 자동차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 등의 흡착연구가 국내에서도 활발하게 추진되기를 바라고 있다.

□ 수산화아파타이트가 인공 골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체내의 생체와 친숙해야 해야 할 것이다. 인공 골은 위치에 따라서 예를 들면, 안면과 같은 부위는 생체 골과의 친화성 외에 두개골의 보호나 수술 후의 심미성도 요구되므로, 고도의 정밀한 제작과 형상을 정확하게 복원 그리고 인공 골의 기능 등을 감안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공학계의 연구자와 의학·치학 계통의 임상 의료연구자 사이에 폐색된 벽을 허물고 활발한 의견교환이나 검토가 될 때만 새로운 응용과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우리나라도 고령화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또한 매년 교통사고로 인해서 많은 신체장애자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고령자나 신체장애자들의 신체적 기능을 회복시켜 주기위하여 바이오세라믹스의 새로운 응용분야로 보조 인공장기(심장, 심폐, 신장) 및 인공 치근, 인공치아, 또는 골(두개골, 대퇴골, 이소골, 골보전재) 등의 연구를 촉진하고 지원하는 부서가 설치되기를 바란다..
저자
T. HIDAK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11(310)
잡지명
Journal of the society of inorganic materials-Japan(A036)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84~188
분석자
오*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