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뇌건강식품으로서의 Phosphatidylserine

전문가 제언
□ 일반적으로 알츠하이머병은 신경변성 치매로 서구인에게 대부분 일어나는 치매의 한 종류이다. 동양인에게는 주로 뇌혈관성 치매가 많으며 이는 알츠하이머병에 비하여 예방 및 치료가 용이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최근 일본에서는 알츠하이머병이 급증하고 있다는 보고가 있으며 그 원인은 주로 식생활의 서구화에 있다고 추정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일본과 같이 앞으로 알츠하이머병이 상당히 증가하리라 예상된다.

□ 지금까지 알려진 뇌신경변성인 β-amyloid, tau 및 신경원섬유의 변화나 신경전달물질의 감퇴를 방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 약물 등이 개발되었으나 아직 치료에 대한 해결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이는 치매의 발생기전이나 원인이 아직도 충분히 밝혀지지 않았을 뿐 아니라 밝혀진다 하더라도 그 원인 인자들이 복합적으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약물만으로는 치료가 거의 불가능할 것으로 추정된다.

□ 앞으로 DNA chip에 의한 유전자해석과 더 나아가 SNP library가 완성된다 하더라도 유전자치료보다는 개인의 유전형질을 미리 파악하여 이에 대처하는 예방의학적인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 오히려 빠른 예방법이라 생각된다. 즉 다인성(多因性) 질환에 있어서는 예방하는 방법 외에는 치료가 어렵다고 생각된다. 이를 위해서는 각 질병의 예방을 위한 해당 기능성식품들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국내외에서도 헤아릴 수 없는 건강식품들이 시장에 나오고 있으나 이들에 대한 임상적 검증이 제대로 이루어진 식품은 극히 드믄 실정이다. 앞으로 정부에서는 이러한 분야에 대한 검증과 감독을 철저히 해야 하고 또한 치매에 관한 brain foods일 경우 주로 소득 없는 노인이 주 고객이므로 정부가 정책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강구하여 노인인구에게 예방혜택을 주어야 할 것이다.
저자
YAZAW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46(6)
잡지명
New food industry(A035)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33~40
분석자
백*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