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시아놀의 항비만효과
- 전문가 제언
-
□ 비만이 인간의 고민으로 등장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며 과거에는 비만이 풍족한 생활의 상징이었으나 최근 당뇨병, 동맥경화증, 심장병 등 만성성인병의 큰 원인이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건강관리를 위해 가장 중요한 쟁점의 하나가 된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비만의 원인은 일반적으로는 활동부족, 유전적요인, 중추신경계의 이상, 호르몬요인, 심리적장애, 기타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요인에서 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주로 지방의 과잉축적에서 온다고 볼 수 있다.
□ 학술적인 면에서 최근의 기전연구 방향을 음해 보면 지방용해물질로 알려진 렙틴(leptin)이 분비되지 않거나 렙틴 수용체의 저항성 증가로 비만이 발생하며, 비만인 사람에서도 렙틴 분비유전자의 결함과 수용체의 결함이 발견된바 있다. 이에 따라 유전자 재조합 렙틴을 비만인 사람에 투여시 안전성과 유효성 검증연구가 수행된 바 있다.
□ 비만 발생의 기전을 살펴보면 렙틴 농도증가로 proorpiomelanocortin 분비가 증가하고 α-MSH와 ACTH로 분화 하는데 α-MSH가 비만 억제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타, 시상하부에서 과도하게 발현된 agouti 단백이 α-MSH와 melanocortin-1의 결합을 방해하면 비만이 유발되며, preadipocyte 에는 감마2-type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ing receptor(PPAR)가 존재하며 PPAR가 과도하게 활성화되면 adipocyte로의 분화가 촉진되며 비만이 유발되며, 미토콘드리아 막에 존재하는 ATP 합성에너지 대사에 관여하고 발열반응을 촉진하는 Uncoupling protein 의 감소로 비만이 유발된다.
□ 카시아놀은 Cm의 에탄올 추출물로 주성분군이 4량체인 플라반 올리고머로서 그 40%가 polyphenol이나 혼합물이므로 좀 더 순수한 단일물질을 분리하여 상술한 기전들을 포함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다만, 다른 시료나 polyphenol에 비해 그 항비만효과가 월등히 높았고 안전성이 확인되었으므로 새로운 기능성 물질로 인정되며 천연물 유래 신약 개발의 후보 소재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 저자
- YOSHIDA ; YOSHIMUR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46(6)
- 잡지명
- New food industry(A035)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41~48
- 분석자
- 신*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