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료수의 품질표시(Labeling of Mineral Water Quality : Utilization of Water Quality Diagram for Consumers)
- 전문가 제언
-
□ 사람 체중의 약 70%는 물로 되어있다. 이는 인간에게 물의 중요성이 얼마나 큰가를 단편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양학에서는 3대영양소나 무기물 등의 함유량을 말할 때 보통 건조중량으로 표시한다. 이는 몸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물이 우리 몸에서 단지 물질들의 운반체 역할을 하고 있다고만 생각하여 간과해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물에 함유되어 있는 미량의 mineral 성분들이 체내를 알칼리성으로 만들어 주어 체내 활성산소의 제거 등 생리적인 유익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물에 대한 연구가 매우 다양하게 전개되어 왔다.
□ 이제는 mineral 뿐만이 아니라 물 cluster 구조에 의한 체내흡수의 영향이나 심지어 물이 가지고 있는 정보의 기억능력까지도 nature지에 발표될 정도까지 물의 중요성에 대한 과학자들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되고 있다. 천연광천수로부터 시작하여 알칼리이온수 등이 등장하고 있으나 산업이 급격하게 발달함으로써 중금속의 오염이 심각해지자 이제는 물에 함유된 모든 물질을 거의 완전히 여과하여 순수물로 만드는 정수기나 증류기까지 등장하였다. 그런가 하면 최근 순수 물구조에 대한 연구로부터 육각수나 ceramic 등 원적외선 처리수와 같은 기능수들이 소개되고 있다.
□ 이상과 같이 물에 대한 연구회가 미국, 일본 등에 많고 매년 심포지움을 개최하고 있어 단편적인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으나 아직 이들 기능수에 대한 효과 검증에 있어서의 문제점은 재현성이 없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몇몇 개인개발자들이 기능수들을 소개하고 있으나 과학적인 검증 데이터가 부족한 상황이다. 앞으로는 이들 기능수와 mineral water의 상관관계를 국책적인 차원에서 검증하는 협동연구를 체계적으로 수행하여 국민들로 하여금 물에 대한 참 인식을 고취시켜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T. MATSUHAS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47(11)
- 잡지명
- 식품공업(A03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62~73
- 분석자
- 백*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