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촉매의 최근 동향과 과제 : 광촉매의 국제 표준화
- 전문가 제언
-
□ 광촉매는 태양 광 등의 광(자외선)에 의해 반응하여 산화력을 발생함으로써 유해물질을 분해하는 것으로, 주로 이산화티탄이 사용된다.
○ 광촉매는 수처리 및 대기정화, 항균, 방오(防汚) 등 적용범위가 넓으며, 광 에너지만으로 환경오염물질을 분해하고, 처리 후에 잔류물질을 남기지 않는 환경친화형 정화기술로서 주목되고 있으며, 이미 화장실(항균) 및 가드레일(방오), 건물의 외벽재(방오, 대기정화) 등에 사용되고 있다.
□ 광촉매의 성능평가시험은 기업체마다 제 각각으로, 규격 및 기준이 없는 것이 현상이다.
○ 일본의 광촉매제품기술협의회는 광촉매의 시험법 및 품질, 표시방법의 국제 표준화를 추진하기 위하여, 2006년 3월까지 JIS 규격 및 ISO 규격의 원안을 제정할 예정으로 있으며, 성능평가방법에 대해서는 우선 셀프 클리닝, 공기정화, 수질정화, 항균 및 항곰팡이의 4가지 분야에 대해 제정하고, 다음에 제품규격을 제정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새집증후군(sick house)이라는 말이 세간에 화두가 됨에 따라 새집증후군 유발물질을 제거하는 광촉매, 공기촉매, 암촉매 등을 첨가한 건설자재(공인 평가기준이 아직 없음)라고 사용자를 현혹하고 있는 실정이다.
○ 산업자원부 산하 기술표준원은 광촉매 제품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제정하기 위해 국내 산학연 전문가들로 광촉매표준화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대기정화, 수질정화, 항균, 방오 등 4개 분과를 설치, 운영하여 표준화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또한, 기술표준원은 광촉매 관련 표준화 연구를 주도하고 있는 일본 산업기술종합연구소와 국제표준화에 대해 공동연구를 추진하기로 하였다.
□ 우리나라의 광촉매 산업은 아직 개발단계에 있는데 광촉매 산업을 선도하고 있는 일본과 동등한 기준을 가지면 국내 산업이 고전을 면치 못할 것으로 우려된다.
- 저자
- Hideaki KOMAK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51(6)
- 잡지명
- 화학경제(A02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67~71
- 분석자
- 황*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