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2차원 강유전체 nematic 액정(Ferroelectric Nematic Monolayer)

전문가 제언
□ 일본 산업기술연구소 나노기술연구부 Yuka Tabe박사에 의하여 연구소의 공동연구의 내용을 발표 소개한 것이다. Tabe박사는 액정분야에서 연구를 많이 하는 과학자로 알고 있다. 여기서 발표한 내용은 주로 본인의 관심분야를 발표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의 내용은 이 분야에서 활동하는 일본인의 문헌을 주로 참고하고 있다.

□ 결정이라고 하면 고체물질을 생각하는데 액정은 말 그대로 액체결정이다. 결정성물질 가운데 어떤 것은 열을 가하면 일정한 온도에서 융해하여 탁한 액체로 되었다가 이것을 다시 가열하면 별도의 일정한 온도에서 투명한 액체로 변한다. 이러한 현상은 1889년에 처음으로 안식향산 화합물에서 발견되었는데 Lehmann은 이 탁한 액체에서 광학적인 복굴절이 나타나기 때문에 액정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그런데 투명한 액체는 이방성을 잃고 보통의 액체물성을 가지게 된다. 액정상태는 결정과 액체의 중간온도의 범위 안에 존재한다. 액정을 만드는 분자는 그 형이 막대 형이나 평판 형이 많은데 그 상태에 따라 특수한 배열을 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액정의 배열방법에 따라 nematic상태, smetic상태 2가지로 크게 나뉘어 진다. 액정이 발견된 것은 19세기였으나 그의 응용연구는 부진해오다가 20세기 중엽에 액정에서 나타나는 자발분극현상이 고체결정에서 보이는 것과 같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 이후부터 액정에 관한 개발연구가 급속도로 진전하게 되어 지금의 영상화질을 향상하는 기술의 대부분은 액정으로 대치하게 되었다.

□ 이 논문의 내용은 액정 4ABO1의 물성을 다루고 있는데 이 분야의 연구는 한국․미국․일본․유럽․러시아 등 각국에서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 논문에서의 연구의 내용은 완벽하게 이루어 졌으나 특수한 그리고 획기적으로 물성을 향상시킨 액정화합물이라고는 볼 수 없을 것 같다. 그러나 4ABO1에서 다른 화합물 SmC*과 같은 응답시간을 얻는데 자장의 세기를 2자리수로 낮출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것은 광학산업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 할 수 있다. 광학소재 특히 액정소재는 이미 존재하는 화합물에서 찾는 것이 첩경이 될 것이다.
저자
Yuka Tabe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55(6)
잡지명
화학공업(A022)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437~442
분석자
박*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