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암 예방을 위한 식이성 장쇄 n-3 지방산 - 그 가능성 있는 작용기전(Dietary long-chain n-3 fatty acids for the prevention of cancer)

전문가 제언
□ 지방산은 생체내에서 Acetyl-CoA, Malonyl-CoA를 원료로 하여 생합성되어 지방산 자신은 대부분 에스테르형으로 존재하는데 각종 지방산에서 생합성되는 생리활성물질이 밝혀졌다. 이중 Arachidonic acid(AA) cascade에 의해 생산되는 Prostaglandin(PG)류, Thromboxane 및 Leukotriene류가 강한 생리활성을 나타내어 새로운 신약개발의 소재로서 주목되고 있다. 천연의 포화 및 불포화지방산은 그 생합성기구로부터 대부분 짝수의 탄소쇄를 갖는 것이 대부분이고 홀수의 탄소쇄나 말단이 분지하는 지방산은 Propionyl-CoA 아미노산 유래 분지 지방산 CoA 에스테르가 이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복합지질은 생체막 구성성분으로 지질 2중막 형성에 주요한 역할을 하여 70%이상이 Acylglycero 인지질이다. 최근 새로운 생리활성물질로 주목된 혈소판응집인자(PAF)는 에테르 결합의 인지질이다.

□ 식품중 고도불포화지방산(Polyunsturated fatty acid, PUFAs)에서 대부분 반응성이 높은 Triplet oxygen 상태의 활성산소 분자에 의해 생성되는 과산화지질은 독성이 있는 것이 있어서 마우스에서 강한 치사율, 토끼에서 장관내 효소의 활성 변환, in vitro에서 대동맥 평활근의 수축, 혈청 리포단백질 변성, 강한 용혈성, 세포내 미토콘드리아와 Microsomes의 효소 활성의 변환 등도 인정되었는데 세포 수준에서는 아직 명확한 독성기구는 밝혀져 있지 않다.

□ 선행연구를 통해 n-3 지방산(α- linoleic acid, EPA, DHA)은 이미 혈청의 중성지방이나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낮추며 혈소판의 응집력을 억제하여 혈액응고를 방지하고, 염증 Mediator인 프로스타글란딘, 트롬복산, 류코트리엔 등의 생합성을 저해함으로써 관상동맥 질환, 중풍, 협심증, 심근경색증, 뇌 영양 공급 및 순환기장애 개선, 치매예방, 혈전생성 억제, 혈압·혈류 조절, 항노화, 류마티스 관절염이나 기타 알러지성 질환 치료 가능성이 대두되고 역학조사에서도 입증되고 있으며 그 기능성 식품의 특허화가 추진되어 왔다. 이러한 배경 하에 n-3 지방산이 항암 특히 암의 화학적 예방(Chemoprevention) 가능성을 체계적인 분자생화학적 기전을 통하여 제시한 것은 암의 특성상 항혈관신생 기전과 함께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되나 다만 n-3 지방산의 암 예방기전과 면역기능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검토가 더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Larsson, SC; Kumlin, M; Ingelman-Sundberg, M; Wolk, A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79(6)
잡지명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935~945
분석자
신*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