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여행자의 설사(Travelers diarrhea)

전문가 제언
□ 설사는 장의 소화 흡수력 저하, 연동 운동 감소, 장내 수분 전해질의 분비 증가 등의 이유로 배변 횟수가 증가하고 묽은 변을 보는 것을 말한다. 변을 여러 번 보는 것도 있지만 하루 한 번 보아도 대변 속에 물기가 많이 섞이거나 피 혹은 점액질이 섞여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 하루 이틀 정도 진행되는 급성 설사와 수주 이상 지속되는 만성설사로 구분할 수 있으며, 장에 염증이 생겼거나 변질된 음식을 먹었을 때, 차거나 소화되지 않는 음식을 먹었을 때, 배를 차게 건사하거나 찬물을 많이 마셨을 때 먹은 것이 제대로 소화흡수 되지 못하고 짧은 시간에 장을 지나갈 때 생긴다.

□ 이러한 설사는 여행자에게 흔하게 생긴다. 현재 세계적으로 매년 5천만의 인구가 개발 국가 혹은 개발도상국으로 여행을 하고 있으며 이 중 20-50% 정도가 처음 2주 동안에 설사를 경험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 이러한 상태를 야기하는 위험인자는 목적지에 따라 또 어디서 출발하느냐에 따라 다르며 언제 여행하느냐와 어디서 묵느냐에 따라 다르다. 급성 위장염일 때에는 설사하기 전에 소화가 되지 않거나 배가 무지근 하다가 배가 끓으면서 물 같은 대변이 급히 나가는데 이때 설사를 한두 번 하고 멎는 경우가 많다.

□ 다행히 여행자의 설사는 대체로 그렇게 심한 병은 아니며 스스로 낫는 병이다. 항생제나 예방제의 효과도 제한적인 경우가 많다. 충분한 물과 소금을 공급하고 정도가 심한 설사병이나 물 변인 경우는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다.

□ 개발도상국에서 설사는 아직 감소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진전된 세계적인 감시체계는 중요하며 보건위생관리를 향상시키는 것도 여행자 뿐 아니라 그 지역 주민을 위해서도 중요한 일이다. 우리도 선진국을 지향하는 시점에서 관광사업의 활성화를 위해 이러한 보건 위생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저자
Casburn-Jones, AC; Farthing, MJG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19(6)
잡지명
JOURNAL OF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610~618
분석자
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