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수명 사이클 평가(Life cycle assessment Part 1: Framework, goal and scope definition, inventory analysis, and applications)

전문가 제언
□ 수명 사이클 평가는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어 있다. 우리에게 제공되는 생산품이나 서비스의 각 단계마다 자연 환경에 가하는 충격을 계량화 한 것이다. 수명 사이클의 각 단계는 원료 추출, 에너지 확보, 물질의 생산, 제조, 사용, 재순환, 종국적인 폐기를 말한다.

○ 각 단계마다의 자연 환경에 주는 충격의 범위도 넓다. 즉, 기후 변화, 성층권의 오존 파괴, 대류권의 오존(스모그) 발생, 오염물질의 발생과 자연으로의 배출 또는 폐기, 부영양화, 산성화, 인간의 건강과 생태계에 독성에 의한 스트레스, 자원의 고갈, 물의 사용과 소음, 그 밖의 여러 가지 환경에 주는 충격은 광대하다.

□ 수명 사이클 평가는 공정 또는 과정을 중심으로 하여 단계마다 고정적인 환경에 주는 충격을 계산하는 귀속적 LCA와 한 단계에서의 변화가 환경에 주는 충격의 변화를 계산하는 결과적 LCA가 있다.

○ 위 내용은 매트릭스 접근법과 에너지 수요 데이터를 인디케이터로 하여 방대한 데이터를 걸러낸다고 하였다. 특히 비슷한 생산 시스템의 LCA가 있을 때 여기서부터 결과를 도출할 수 있기 때문에 매트릭스 방법이 선호되리라 생각한다. 에너지 데이터도 모든 공정에서 얻을 수 있고 환경적으로 중요한 충격이 에너지의 생산/소비에 연관되기 때문에 에너지 수요도 유용할 것이다.

□ 그러나 한 제조업체에서 그 제품의 LCA를 공개함은 그 회사의 대외적으로 비밀인 제조 노-하우의 공개 위험이 있고 또 환경보호 실적에 자신이 없는 회사는 여론의 지탄의 대상이 될 위험도 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럽의 많은 공업 부문에서는 LCA에서 사용할 데이터 요구에 적극적으로 응하고 있다고 한다. 유럽 플라스틱 제조자 협회가 공중에게 데이터를 제공한 선구자 역할을 함에 따라 다른 공업 분야도 1990년 초기부터 능동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도덕성에 바탕을 둔 기업정신이 뿌리를 내린 결과라 볼 수 있다.
저자
Rebitzer, G; Ekvall, T; Frischknecht, R; Hunkeler, D; Norris, G; Rydberg, T; Schmidt, WP; Suh, S; Weidema, BP; Pennington, DW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30(5)
잡지명
Environment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701~720
분석자
김*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