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단백질 치료제의 구조-면역원성 관계(Structure-immunogenicity relationships of therapeutic proteins)

전문가 제언
□ 단백질 치료제 시장은 년 150억 달러에 달하고 있다. 그리고 2005년에는 연 250억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렇게 많은 인간 재조합 단백을 포함한 단백질 약제들이 시판되면서 면역원성 문제들이 대두되고 있다. 단백질 치료제에 대하여 발생하는 항체들은 임상학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데 이는 약효를 무기력화 시킬 수 있고 중요한 생물기능을 가진 체내 단백질을 중성화 시킬 수 있다. 이들 약제들은 분해되기 쉬운 상태라 특별한 조제와 과정을 거쳐야 시판될 수 있는 유효성 유지기간을 갖게 된다.

□ 이러한 항체들은 표적에 결합하는 이상의 작용을 하여 표적물의 활성을 자극하거나 저해할 수 있다. 이들은 수용체-리간드의 상호작용을 차단하며 바이러스를 제압하고 효소와 타 생리활성물질들을 저해한다. 이러한 항체들은 유익한 면이 있는데 기능이 알려지지 않은 단백질세포내의 장소를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단백질의 기능을 결정할 수도 있어 암이나 타 질병의 약물 표적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 당이나 PEG사슬이 접목된 폴리펩티드의 구조변화는 면역원성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이 첨가물이 항원장소를 도입한다는 증거는 없다. 면역반응을 가장 많이 야기시키는 구조변화는 단백질 분자의 응집이다. 이는 실질적으로 사용할 약제를 개발하는데 있어 가장 큰 장애이다. 이는 생리활성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주사장소에 부작용을 가져오고 면역원성을 불러온다. 예로 HSA를 포함한 rhIFNα2 조제를 냉동탈수하여 상온에서 보관하면 응집현상을 초래하나 HSA를 제거하여 냉장하면 응집현상이 적어 면역항원성이 감소한다. 또 단백질의 접힘 현상도 면역원성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원래와 다른 이성체의 존재가 있는 조제가 면역원성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는 아직 확실치 않다.
저자
Hermeling, S; Crommelin, DJA; Schellekens, H; Jiskoot, W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4
권(호)
21(6)
잡지명
Pharmaceutical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897~903
분석자
이*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