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줄기세포에서 새로운 beta세포 만들기(Making new beta cells from stem cells)

전문가 제언
□ 세포는 에너지원으로 포도당이 필요하며 혈중의 포도당이 세포로 이동하는 데는 인슐린이란 호르몬이 있어야 한다. 인슐린은 췌장의 베타세포에서 분비된다. 당뇨병은 췌장의 베타세포의 파괴로 인슐린의 분비가 안 되든지 또는 인슐린 분비는 되어도 저항성으로 인해 포도당이 세포로 들어가지 못해 혈중의 포도당이 올라가 오줌으로 방출되기도 하나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소변에서 당이 검출되는 것만은 아니다.

□ 2000년에 Shapiro와 동료들이 인슐린에 의존하는 제1형 당뇨환자에게 시신에서 분리 정제한 소도세포(islets)를 이식하여 환자가 회복되었다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근래 연구원들은 세포치료에 필요한 islet세포를 대신할 수 있고, 계속해서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제원을 찾는데 노력하게 된다.

□ 그래서 성인의 줄기세포, 혹은 배아줄기세포가 많은 실험에 등장하고 있다. 지금까지 발표된 내용가운데는 배아줄기세포(ES)가 인슐린 분비세포나 글루코오스 담당세포로 전환시켰다는 내용이 있으나 아직까지는 의문을 제기하는 경우도 있다.

□ 생체실험은 대체로 독성으로 유도한 당뇨 쥐를 이용하여 세포이식을 실험하고 있으나 이것이 가장 좋은 모델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많은 경우는 고혈당이 낮아지는 것이 이식된 세포의 인슐린 때문인지 아니면 원래의 islet세포의 기능이 회복된 것인지 확실하지 않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 당뇨병을 치료하기 위해 췌장의 소도세포를 이식하는 단계는 성공하고 있으나 필요한 세포를 구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이 고려되고 있으며 성인의 줄기세포와 배아줄기세포의 활용에 기대를 갖고 있다. 다만 아직까지 그 성과는 뚜렷하지 않지만 현재 이 분야의 연구 활동으로 보아 진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Colman, A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4
권(호)
15(3)
잡지명
Seminars in Cell & Developmental 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37~345
분석자
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