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 대화를 구성하려는 기도에 대하여(On attempting to construct alternative narratives - John Law, Aircraft stories: Decentering the object in technoscience)
- 전문가 제언
-
□ John Law가 영국의 공격 항공기 계획의 실패에 대하여 논급하고 포스트모더니즘적인 새로운 대화 방법을 추구하는데 대하여 비판한 글이다. 비판이라기보다 오히려 인신공격에 가깝다. 비교적 동양보다 토론 문화가 발달된 서양에서도 이렇게 학자로서의 자질까지 거론하는 글이 나온다는 사실이 놀랍다.
○ 처음 도입 부분에서는 John Law에 대한 칭송으로 시작된다. 그가 과학과 사회학 간에 다리를 놓았고, 기술사 학회로부터 선구자 상을 받은 사실로 시작하여 점차로 그에 대한 비난의 도를 높여간다. 나중에는 다른 기술사학자나 철학자들을 인용하지 않았다는 것까지 비난의 대상이 되고 있다. 간단히 말하여 John Law의 철학의 빈곤을 논급함으로서 글을 끝내고 있다.
□ 본문은 결과적으로 John Law와 함께 포스트모더니즘과 모더니즘을 포함한 새로운 사상을 모두 합쳐 비판하고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이 과학 기술과 만날 때는 특별한 문제가 제기된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언어적 자만에 빠질 위험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즉 언어와 현실, 언어적 시스템과 물질적 세계 간의 구별을 소홀히 하는 경우가 많다.
○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도 역시 완성된 사상은 아니다. 이제까지 인류 사회를 거쳐 간 모든 사상과 마찬가지로 비판과 수정, 그리고 오류의 지적을 거치면서 완성되어 간다. 그리고 그 사상이 완숙한 경지에 이르게 되면 스스로의 한계를 발견하면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사상을 배태하게 된다. 이런 면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도 예외는 아닐 것이다.
□ 본문을 분석하면서 논쟁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어느 일방의 주장만 들어서는 객관적인 판단이 불가능함을 새삼 느꼈다. 분석자는 John Law를 비판한 글만 읽었을 뿐 John Law 자신의 글이나 비판에 대한 비판의 글을 읽지 못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문이 제시한 John Law의 철학적 빈곤이나 학자적 자만에 대해 왈가왈부할 입장은 아니다. 다만 이러한 비판이 가장 객관적일 수 있는 과학기술사 학자들 간에 나올 수 있음이 신기하다.
- 저자
- Schatzberg, E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4
- 권(호)
- 45(2)
- 잡지명
- TECHNOLOGY AND CULTUR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406~412
- 분석자
- 김*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