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명된 방앗간(Enlightened mills - Mechanizing olive oil production in Mediterranean Europe)
- 전문가 제언
-
□ 18세기 지중해 연안 지역에서 올리브기름 생산과정의 근대화 과정을 기술적인 문제보다 사회 경제적인 면에서 잘 조명된 글이다. 사실 기술은 기술 자체로 보다는 사회 경제적 필요성에 의하여 탄생하고 그 결과는 다시 사회 경제적 문제에 영향을 미친다.
○ 우선 프로방스나 제노아 지방에서 근대화가 가능했던 것은 토지와 기계적 생산 수단을 함께 소유하는 부르주아의 등장이며 이들의 이익을 위한 활동이 봉건-공동생활 제도를 무너뜨린 것이다. 즉 시대가 필요한 계급적 인간군을 낳고 이들이 다시 시대를 변화시키는 예로서 이 지역의 올리브기름 공업의 근대화를 들 수 있겠다.
□ 본문에서 중요하게 본 또 하나의 요소는 잘 훈련된 노동력이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코르시카나 칼라브리아에서는 임시로 고용된 농민에 의지하여 근대화 한 방앗간을 운영하려다가 실패하고 말았다. Grimaldi가 칼라브리아에 근대식 방앗간을 세우기 위하여 제노아에서 기계를 구입할 때 숙련된 일꾼들까지 함께 고용하여 그의 영지로 보냈음이 본문에 나온다. 그러나 그도 종국적으로는 실패하고 말았다.
○ 새로운 기술의 등장은 이 기술에 적응하는 사람들과 이 기술에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들로 인간의 집단을 나눈다. 여기서 문제는 이 새로운 기술에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들이다. 그들은 본문에서 보는 농민의 봉기처럼 생활수단을 잃게 되며 따라서 격렬하게 이 변화에 저항한다. 그 다른 하나의 예로 재봉틀이 발명되었을 때 일어난 여자 봉제공들과 그들의 가족의 봉기를 들 수 있다. 재봉틀 하나가 이십여 명의 일자리를 빼앗아 간 것이다.
□ 유럽에서 석유가 사용되기 전의 유지(油脂)의 소스로서 올리브기름의 중요성도 본문에서 얻을 지식이다. 비단 식용으로만 아니라 등불을 밝히고 기계의 윤활유로서, 비누와 그 외의 공업적 용도로 긴요하게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 후 포경술의 발달로 바다에서 고래를 잡을 수 있게 되자 고래에서 얻는 유지가 이 올리브기름을 대체하게 된 것이다. 그것이 고래를 거의 멸종의 위기로 몰아가자 이번에는 석유의 이용기술이 발전되어 고래를 구하게 되었다.
- 저자
- Mazzotti, M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4
- 권(호)
- 45(2)
- 잡지명
- TECHNOLOGY AND CULTUR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277~304
- 분석자
- 김*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