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반도체 소재산업의 형황과 문제점들(Electronic Chemicals)

전문가 제언
□ 우리나라의 삼성전자를 포함하는 세계 유수의 반도체회사들은 2001년과 2002년의 불황에서 벗어나서 매출액 신장과 더불어 수익률이 두 자리 수 이상의 성장을 보이고 있는 등 상당한 호황을 누리고 있고, 따라서 반도체회사들에 핵심 소재를 공급하고 있는 화학회사들도 상당한 이익을 보고 있다.

□ 이렇게 화학회사들이 호황을 누리고 있는 이면에는 차세대용 반도체 리소그래피에 사용되는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와 회로 절연에 사용되는 유전체물질(Dielectric Materials)의 채택을 놓고 혼란과 고민에 쌓여 있다.

□ 이러한 문제를 조명하기 위해서 미국 화학학회에서 발간하는 Chemical & Engineering News 지는 2004년 7월 28일 호에서 이 문제의 원인과 현황, 당면한 문제점 및 향후 전망 등을 심도 있게 조사 분석하여 표지기사로 소개하였다.

□ 이 기사에서는 문제의 발단이 ‘국제반도체기술로드맵’이 제시하고 있는 방향과 실제로 반도체를 설계, 제작하는 반도체업체의 현실과의 괴리에 있다고 보고 있다. 즉 반도체 업체들이 차세대용 포토레지스트를 사용하기 위한 장비(Stepper)가 고가라는 이유로 이의 채택을 주저하고 있는 동안에 막상 로드맵에 따라서 막대한 자금을 투자한 화학회사들이 혼란에 빠지게 된 경위를 소개하여 놓았다.

□ 이 기사의 내용을 자세히 음미해 보면 두 가지 사실을 깨닫게 된다. 첫 째는 현재 비록 호황을 누리고 있는 회사들도 항상 차세대 기술에 사활을 건 경쟁을 하고 있고, 여기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최선의 노력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는 선진국일수록 항상 부가가치에 중점을 두고 기술력을 집중한다는 점이다. 즉, 여기에서 소개하고 있는 반도체용 포토레지스트나 유전체물질들은 일반 중화학제품들과는 다르게 소요량이 적고 대단히 고가의 화합물들이다. 이렇게 부가가치가 높은 물질들을 개발하여 제품화하는 것이 진정한 실력이라는 점에서 관련 학계, 연구계는 물론 이들은 지원하는 정책부서에서는 더욱 분발해야한다고 판단된다.
저자
Michael McCoy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82(26)
잡지명
Chemical & engineering n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8~24
분석자
이*웅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