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공성 세라믹을 이용한 지주 골의 재생(Regeneration of trabecular bone using porous ceramics)
- 전문가 제언
-
□ 뼈는 노화 및 다른 생리적인 이유 또는 여러 가지 사고로 손상될 수 있다. 생리적 손상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골다공증 및 관절염으로 인한 손상이다. 고령화 및 산업화로 인한 사고의 증가로 뼈와 관련된 환자의 수는 급증하고 있다. 골 질환과 사고 또는 고령화에 의해 급성 또는 점진적으로 나타나는 관절, 특히 고관절과 무릎관절의 베어링 기능부전은 재생이 거의 불가능한 비가역적 형태로서, 고령화 사회에서는 비 노동성 생활보호 대상인구의 증가와 같은 사회적 문제를 야기한다. 정형외과 관련 국내의 의료기기 및 치료기기의 수요는 매년 20% 이상 급증하여 현재 시장규모가 1,000억 원에 달하고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소재산업적인 관점에서 인공관절의 재료는 고품질, 고부가가치의 의료용 소자로 제조됨으로 대량제조를 위한 공업으로서의 가치는 희박하다고 할 수 있다.
□ 뼈 조직의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서 환자의 다른 부위의 뼈를 떼어내 이식하거나 인공적인 뼈 유사 조직을 이식한다. 환자자신의 뼈는 채취할 수 있는 양의 한계가 있고, 타인 및 동물의 뼈는 면역학적 문제가 있으며 인공재료 역시 이물반응 등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조직공학을 이용한 치료법이 대두되었다. 이는 환자로부터 뼈 조직의 세포를 추출하여 실험실에서 배양하여 유사한 조직을 제조하여 필요한 부위에 이식하면, 양적 및 면역학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생분해성 고분자 및 세라믹 재료가 혼합된 지지체에 배양된 세포의 합성을 통하여 혼합형태의 인공뼈를 제조할 수 있다. 뼈의 조직공학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고분자와 세라믹 재료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뼈의 재생에 있어 이들 각 방법 및 재료들이 각기 독립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정확하게 실험적으로 평가하는 것과 이를 위하여 사용되는 실험동물의 선택이 중요하고 또한 실험동물의 결과와 임상적 결과의 차이에도 세심한 주의를 해야 한다.
□ 조직공학의 역사는 불과 10여년 밖에 되지 않지만 그 잠재력은 무한하며, 다른 선진국에서는 초창기부터 학계뿐 아니라 정부와 기업이 적극 참여하고 있다. 조직공학의 특징은 여러 분야의 지식과 기술을 이용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분야 과학자들의 협동연구가 절실하며 끊임없는 정보교류가 필수적이다.
- 저자
- Jones, JR; Hench, LL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3
- 권(호)
- 7(4-5)
- 잡지명
- CURRENT OPINION IN SOLID STATE & MATERIALS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301~307
- 분석자
- 서*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