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기생산시스템이란
- 전문가 제언
-
□ 이 시스템에서 추구하는 동기생산시스템의 체계 1단계는 원점 즉, 현 상태의 파악이며, 이때 사용하는 도구는 어머님의 대청소방식인 5S(6S)를 기초로 하고, 목표는 동기생산시스템을 구축하여 국제경쟁력 확보와 아울러 이익확보라는 전략이다. 즉, 경쟁력만 놓고 생각한다면 출혈경쟁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쟁은 회사의 흥망을 걸고 하는 것이므로 최종적인 선택이다. 그러므로 그 이전에 결언에서 제시하는 12단계의 실천은 이익을 추구하는 방법이므로 이러한 생산방식을 도입하는 것이 좋다. 일본에서는 1990년 검토되고 추진된 시스템이다.
□ 2단계는 수주확정에 의한 동기생산이며, 관련된 전공정의 최 단축 추구이며, 이러한 추진에는 사람의 창의력이 있는 라인을 구성하며 모든 재화의 흐름을 물 흐르듯이 추구한다는 것이다. 이 흐름에는 리드 타임 단축이 무엇보다도 중요하고 추진방식에서 대두되는 장애요인인 낭비를 철저하게 추방하여, 재고의 삭감과 그리고 무엇보다도 중요한 불량과 고장의 추방인 것이다. 3정, 3철의 뜻에서 철저의 뜻은 눈에 보이는 문제의 추방보다는 보이지 않는 부분이 대상이 되며, 이는 대부분 인정낭비를 뜻한다. 이러한 인정낭비는 전체의 90%이상이다.
□ 이 시스템의 3단계는 철저한 소비자 또는 후 공정의 만족이다. 그렇게 하려면 해결 할 수 있는 능력의 보유 즉, 품질, 원가, 납기의 관리이다. 회사가 추구하는 목표이익은 소비자가 원하는 가격에서 이익을 먼저 제외시키고 남은 것이 제조원가라고 인정하여야 한다.
□ 이러한 방식이 생각나거나 문구가 떠오르면, “당신이 해 한번 해봐” 라는 질문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에 대한 대답으로는 묵묵히 하는 방법이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으며 체계적으로, 공업발전국가는 공장은 즉 장인이 만들어 지는 곳이며, 공정은 추진하는 것 이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다. 그리고 철저한 후공정 만족, 즉 후공정에 결함 또는 불량품이 흘러가지 않는 다는 한국형 생산방식의 철학이 필요하다.
- 저자
- T. IMAIZUM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4
- 권(호)
- 50(4)
- 잡지명
- 공장관리(E075)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101~106
- 분석자
- 김*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