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형 산업의 현황과 향후 방향
- 전문가 제언
-
□ 근래 일본 제조업체의 해외이전이나 해외생산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보다 먼저 이러한 현상을 경험한 일본의 경우를 고찰하고 우리나라 기업의 대책에 활용한다.
□ 금형제작이 더욱더 장치산업화의 경향을 띠게 되고 설비로 대응할 수 있는 분야는 신흥 금형산업 국가의 추월이 심해진다.
□ 금형기업의 경영문제는 기업 자체능력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국내외적인 환경요인과 자체능력으로 어느 정도 대책이 가능한 경영부문으로 구분할 수 있다.
□ 종합화, 차별화, 그룹화를 기업현황과 현실에 맞도록 유연성 있게 도출할 수 있는 기업 내 환경을 조성하고 면밀한 기획을 수립 실행한다.
○ 제품 제조기업의 해외이전과 시장의 감소, 공동화 현상에 대처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고려할 수 있다.
- 중소기업형인 금형기업의 개개의 미미한 역량을 배가하기 위하여 동종기업체의 연합을 조직한다.
- 고도화, 특수화(대형화, 극소형화 등)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특수성과 노하우를 가진 여러 금형업체가 수평적인 연대를 구성하여 제품생산회사의 제품개발 수준에 맟는 금형기술과 서비스를 제공한다.
- 한국의 금형기업이, 신흥 제조국가의 금형기업, 선진국 금형기업과 국제협력체를 구성하여 저가 단순금형, 중가 일반금형, 고가 특수금형에 이르는 특정분야의 금형 전반에 걸친 기업의 기술과 영업능력을 갖춘다.
□ 금형제작회사가 금형을 사용하는 회사의 제품개발 시점부터 함께 계획에 참여하고 해외이전 기업까지 포함하여 제품의 시험 및 시작 생산과 양산, 애프터서비스에 이르는 전 과정에 있어서 금형을 기본으로 하는 제조 노하우를 폭넓게 제공하는 등 총체적 대응을 하기 위하여 종합력이 필요하다.
- 저자
- Akio HIRA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48(증간)
- 잡지명
- 기계와 공구(A06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25~36
- 분석자
- 이*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