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속주축용 구름베어링의 개발 동향

전문가 제언
□ 최근 일본에서는 Nagoya공업대학 등을 중심으로 자기베어링이 갖는 고부하능력 및 정강성(靜剛性)과 공기정압베어링의 뛰어난 동강성(動剛性)을 살려 구름베어링의 단점인 고속가공 시의 마찰, 발열 및 팽창 등의 문제점 해결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베어링 개발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경희대 등을 중심으로 세라믹 물질 위에 고분자 물질을 결합시킨 유기-무기의 하이브리드 입자 재료의 제조기술 개발의 성공에 따라 고속화 등의 새로운 추세에 대응하는 신기술의 발전이 기대된다.

□ 주축용 베어링은 산업현장의 공작기계에 대한 고성능화 수요와 보조를 함께하며 많은 발전을 하였지만 앞으로의 요구 성능은 보다 고도화/다양화 될 것이다. 이에 부응하여 한국기계연구원 등을 중심으로 빌트인모터 내장형 주축계의 열적 최적화 연구, 자기베어링 상용화, 성능시험 및 안정성 해석 시스템 개발, 최적 고속절삭가공을 위한 전산화 프로그램 개발, 가공면 거칠기 진단/평가 시스템 구축 및 주축계 동특성 진단 범용화 모듈 구축 등에 많은 연구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 베어링 성능을 지지하는 기반기술은 베어링공학, 동역학, 열처리 및 윤활관련기술 등의 기초기술이다. 이런 제반기술과 최근의 신재료/신기술의 발전을 토대로 하여 본격적인 환경규제 강화와 일선 산업현장의 업종별/분야별 요구에 부응하는 고부가가치 창조형 신제품 개발을 추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매트릭스 강도 향상 및 고온경도/고습강도 향상 등의 재료열처리 분야, 정격하중 증대와 실 밀봉기능 향상 등의 설계기술, 고습/고압 하에서의 고점도 유제화와 윤활유 최적공급량 확보 등의 윤활관련기술 및 표면거칠기 개선과 유막유지능력 향상 등의 가공기술의 연구개발에 많은 관심과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
저자
Shinji FUKUD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4
권(호)
48(5)
잡지명
기계와 공구(A060)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22~26
분석자
조*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