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공작기계용 고성능 베어링의 특성과 사용법

전문가 제언
□ 공작기계에서 회전체의 진동영향을 가장 민감하게 감지하고 또 문제시 삼고 있는 것이 연삭기계 종류라 생각된다. 연삭숫돌을 회전시키는 주축 스핀들 베어링의 정밀도가 떨어지면 주축에 진동이 생겨 연삭 표면에 무늬가 생기는 결함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고속회전에서 스핀들의 발열로 장시간 작업이 불가능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거기에 최근에는 공작기계의 가공 고 효율화를 위하여 고속화, 고정도화 및 고강성화가 주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각 산업분야에서도 환경보호의 요구로, 에너지 절약, 환경오염 대책 및 소음을 포함한 작업환경개선에 대하여 주목하고 있다.

□ 최근 공작기계 전시회에 관한 자료 보고를 보면, 공작기계 메이커의 주력 전시기계는 공작기계에 IT를 융합한 초고속, 초 고정도, 복합 다축화의 고기능 공작기계에 환경을 배려한 기종이 다수 출품되고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공작기계에서 지금까지 추진해 온 고속화, 고정도화 및 고 강성화를 실현한 기술과 환경보호를 고려한 기술추진에 대하여 소개하기로 한다. 첫째는 로버스트(robust) 베어링의 개발로 로버스트 베어링은 모터 빌트인 화로 인한 열원이 스핀들 내부에서 발생하는 대책으로 온도 로버스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베어링 내부설계의 최적화를 시도한 베어링이며, 둘째는 초고속 앵귤러 볼 베어링 스핀 쇼트 Ⅱ이며, 셋째는 실 타입 앵귤러 볼 베어링의 개발이다. 이들 베어링이 개발됨으로써 공작기계의 성능은 고속화, 고정도화, 고강성화에 추가적으로 환경에 대응한 공작기계의 개발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최근 이들 베어링 외에 공작기계용 베어링으로 각광을 받기 시작한 것이 자기 베어링이다. 영구자석과 선형 전동기의 원리를 이용하여 직류 선형 전동기와 유사한 성능을 갖는 자기베어링의 개발이 많은 진전을 보이고 있으며, 초정밀 공작기계에 적용한 사례도 보고 되고 있다.

□ 베어링의 사용 역사는 깊지만 최근에 요구되는 베어링, 즉 나노 단위의 가공기용 베어링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저자
Saburou AZUMI, Yasushi MORIT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4
권(호)
48(5)
잡지명
기계와 공구(A060)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27~33
분석자
정*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