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한국, 러시아, 중국에 의한 동시베리아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타당성조사

전문가 제언
□ 러시아의 시베리아 지역에 방대하게 매장되어 있는 천연가스를 러․한․중의 국제협력에 의해 손쉽게 도입하기 위한 코비크타 가스 파이프라인의 건설계획은 우리나라 에너지확보를 위해 크게 공헌할 것이며, 천연가스의 도입․사용으로 인한 환경부담의 경감의 견지에서도 크게 환영하는 바이다. 그러나 이 건설계획은 세계 최장의 파이프라인이고, 동토(凍土)지역인 시베리아를 통과하는 공사가 되기 때문에 설계는 신중히 계획되어야 할 것이다.

□ 동시베리아지역은 동토지대이다. 인류는 동토지대에서의 석유 또는 천연가스의 파이프라인 건설은 이미 경험을 쌓고 있다. 1970년대에 알래스카에서 원유파이프라인(총 길이: 1,280km)을 건설․운영하고 있으며, 근년에 와서 사할린 II 원유 파이프라인(807km)을 건설한바 있고, 또 캐나다에서는 Norman Wells 원유 파이프라인(869km)을 건설하고 있다. 이들 파이프라인의 건설에서는 내진설계, 누설감시, 모니터링시설 등 필수적인 요건 들이 고려되고 있다. 코비크타 가스 파이프라인 건설에서도 이전의 경험을 충분히 반영하여, 운영 중 대형 가스누설 등 불상사가 없도록 유의해야 할 것이다.
저자
Sasuke Echigoy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4
권(호)
46(6)
잡지명
배관기술(A057)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9~36
분석자
차*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