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건축용 동배관의 부식과 방식

전문가 제언
□ 건축설비에서 배관은 인체에 비유하면 혈관과 같은 것이다. 혈관에 이물질이 쌓이거나 막히면 인체에 건강상 위험이 발생하듯이 건축설비의 배관도 부식되거나 막히면 건물의 각종 기능에 장애가 생긴다. 건물의 냉방 및 난방, 급수 및 급탕, 위생설비가 제대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건강한 배관, 즉 부식되거나 막히지 않는 배관시스템이 중요하다.

□ 과거 건축설비에 사용되었던 배관재는 백관이라고 불렸던 아연도금강관이었다. 철의 부식을 막기 위해 도금된 아연은 철보다 활성이 더 큰 금속이기 때문에 산화반응이 일어나면 철보다 부식이 더 빠르게 진행된다. 이른바 아연이 철의 부식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부식된 강관은 유체의 흐름을 막아 냉난방효율을 저하시키고, 녹물급수 및 급탕, 누수 등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한다.

□ 우리나라에서 건축설비에 동관이 사용된 것은 최근으로 이제는 각종 수지관과 함께 보편화된 배관재이다. 강관에 비해 부식에 강하고 접합 및 가공이 용이하며 열전도율 등의 물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 동관의 부식원인규명을 통해 부식방지대책을 여러 가지가 소개하고 있는데 이에 덧붙여서 가급적 동일재료의 배관재 사용, 라이닝 처리된 배관재 사용, 급수의 물리적, 화학적 수처리 과정, 난방온수와 급탕수의 온도변동 폭 조절 등이 포함된다면 동관의 부식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Hiroshi Nakajim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4
권(호)
46(6)
잡지명
배관기술(A057)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8~14
분석자
유*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