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진동분석에 의한 이상진단

전문가 제언
□ 최근 화재 등의 공장재해 사고에 설비의 노후화나 내구성 부족 등의 원인과 보전불비도 하나의 원인이 된다. 설비는 반드시 노후화되고 보전 및 정비를 하지 않으면 고장이 나기 마련이다. 설비관리와 점검 보전을 어떻게 하는 가는 공장이나 회사 이익을 위한 중요한 사항이다.

□ 이 원고는 회전기계의 점검기술로 진동측정으로부터 이상을 검출하고 인지하는 기본기술을 해설한 것으로, 회전기계가 가동 시 발생하는 진동이 정상 시에는 작고, 이상 시에는 크게 되는 것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다. 종래의 진동측정에 따른 이상진단은 이 진동의 강도를 측정해서 미리 준비한 관리기준과 비교해서 정상, 주의, 이상 등의 판정이 행해진다.

□ 진동의 크기를 측정하여 기계설비의 이상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기계설비마다 개별의 최적판정기준을 준비해야 하고, DN치나 소비전력치에 의해 정상시의 진동을 기본으로 하면 좋다.

□ 하나의 판정기준으로 광범위한 기계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진단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베어링의 진단을 예로 진폭 확률밀도함수 분석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있고, 또 고장원인이나 고장부위의 위치를 정하기 위해 주파수분석이 일상적으로 사용된다. 구조계에 고장이 발생하면 진동이 커짐으로 진동의 크기는 중요한 열화지표이고, ISO규격에도 진동의 크기를 규정하고 있지만, 적용성이 높다고 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이 원고에서는 새로운 주파수영역의 열화지표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 진동의 크기나 진폭 확률밀도함수로 이상은 검출되나 결함개소의 위치를 정하지 못할 때 충격진동의 반복주파수가 중요한 정보가 된다. 이것을 변동분석이라고 하며, 변동분석 방법으로 포락선 처리가 있다. 포락선 처리 파형을 분석해서 얻는 반복주파수로부터 베어링의 결함장소를 알 수 있다.

□ 진동에 따른 진단기술자의 자격인증이 ISO규격으로 규정되었고,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보전에 주목하여 이론과 계기에 의해 설비진단이 되어 설비보전을 잘 할 수 있기를 바란다.
저자
Hidemichi KOMUR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4
권(호)
32(6)
잡지명
계측기술(E282)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8~12
분석자
남*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