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브 수차 갱신 프로젝트의 CFD 활용 사례(An Example of CFD Application on a Renewal of Bulb Turbines)
- 전문가 제언
-
□ 수력발전은 초기 투자비가 많이 소요되나, 연료비용이 들지 않아 지난 세기부터 발전소로서 많이 건설되었고 대규모 발전입지와 환경문제로 대형 수력발전 대신, 최근엔 소수력발전이 많이 보급되고 있다.
□ 우리정부에서도 에너지개발을 위해 개발권장과 함께 기술지원으로 수력발전을 위한 수차개발에 힘쓴 결과, 소수력발전에 핵심부품인 카플란형을 포함한 저 낙차용 수차를 개발하여 설계기술과 국산화를 완료하여 상용화 직전단계에 이르고 있다.
□ 따라서 본문과 같이 축적된 설계기술과 최신 CFD 활용기술에 의해 기존 수력발전소의 수차를 리모델링함으로서 발전량을 증대 시킬 수 있다고 보며, 아울러 성능개선과 무인운전도 가능할 것이다.
□ 전산 유체역학(CFD)은 공기, 물, 가스 등 유체가 관련된 정역학, 동역학, 유체역학, 열전달, 공기역학 등 모든 분야에서 컴퓨터를 이용한 수치해석으로 모든 연구에 가장 핵심적인 툴이 되고 있는데, 항공기, 배, 자동차, 도시설계 등의 공기나 물의 흐름을 수치 해석하여 최적화 시켜서 제품 개발에 활용하고 있으며, 보일러 내의 복잡한 열 유동해석, 정수장의 소독제 혼합 최적을 위한 크기 결정, 실내 최적 환기 시스템 그리고 첨단 수영복 등에까지 CFD기법이 활용되고 있어 이미 우리의 실생활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 그런데, 국내에서 수행되고 있는 많은 연구에 CFD 상용 프로그램을 외국에서 도입하여 사용 중이나, 기본 난류모델도 이들 프로그램이 지원하는 표준 κ-ε이나 RNG κ-ε모델 등이 대부분으로, 이들 모델은 예측성능은 우수하지만, 아직 많은 오차가 있을 수 있어서, 각 분야에서 실제 적용 시에는 연구대상에 따라서는 이들 모델과 함께 수정모델도 사용하여 각 모델의 예측 정확도를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 즉, 수학적 모델이 완벽해야 오차를 줄이고 예측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아울러 본문 제시와 같이 실제 운전 시 및 각 수치해석 결과를 모은 데이터베이스를 광범위하게 구축하여야, 보다 유효한 연구의 툴(Tool)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저자
- Tsuneaki FUJII, Ryoji SUZUK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32(5)
- 잡지명
- 터보기계(B517)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286~290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