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터보기계 개발설계의 CFD 적용 사례(Application of CFD Methodology to the Development of Turbomachinery)
- 전문가 제언
-
□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냉난방을 위한 고효율 압축기와 펌프, 열 병합 발전 등에 사용되는 고 부가가치의 가스터빈, 수력발전의 수차 등 터보기계는 원동기로서 수요가 증가하면서 고효율, 소형화하고 있다.
□ 고성능 및 고 효율화 하려면 각 부품과 조립품에 대한 개발 초기부터 CFD를 활용한 해석이 불가피하며, 점차 해석 프로그램의 고성능화로 격자수가 대폭 증가하여 정도를 높인 해석이 가능하게 되었다.
□ 유동해석 프로그램으로는 TAXING, ACS, RIPDAP 등이 있고, 임펠러 유동해석 시엔 3차원 압축성 점성 유동해석에 유용한 유한체적법(Finite Volume Method, FVM)을 이용하며, 특히 간극 해석 등 복잡한 환경에는 STAR-CD 프로그램이 채용되고 있다.
□ 이미 우리나라도 가스터빈의 경우 핵심부품에 대한 설계 해석기법과 시험평가 설비를 확보하고 있고, 또 러시아의 기초기술을 활용하여 핵심부품의 CFD 해석으로 설계검증과 캐비테이션 시험설비 등을 구축하고 있는 중이다.
□ 본문의 일본 사례 소개는 아주 개략적인 활용 사례이나, 이미 깊은 단계에까지 CFD를 활용하고 있어서 우리에게 좋은 자극이 될 것으로 보이며, 관련업무의 설계 연구자들은 제조업에 강한 일본 사례에 좀더 관심을 가지면 도움이 될 것이다.
- 저자
- Sumiu UCHIDA, Kazuyoshi MIYAGAWA, Zyun KOG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32(5)
- 잡지명
- 터보기계(B517)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274~279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