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분야에서 나노여과기술 개발 동향(Development of Nano-filtration Technology in Food Industry and Agriculture)
- 전문가 제언
-
□ 최근 일본에서는 상온조작 및 에너지절약형의 막분리기술이 가열을 동반하지 않는 유가공 등의 고품질화공정에 널리 응용되고 있으며, 녹차․커피 등의 기호식품 가공, 생물반응기 등으로의 이용, 크로마토분리법과 경합하는 고도 막분리 등의 새로운 성능의 막개발 및 새로운 막이용 기술의 전개가 주목받고 있다. 또한 식품종합연구소를 중심으로 오염현상기구 등의 막분리 기초특성의 규명, 삼투압 측정장치 개발, 액상식품의 고농축 시스템 개발 및 올리고당의 분리 정제 등에 관한 많은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 미국은 전하차를 이용한 단백질분리용 음이온칼럼형교환기를 사용하여 간단한 시료는 15분내에 분석하며, 표준실험장비 사용으로 여러개 시료의 동시 처리와 4㎎ 이하의 초미량 및 0.4mL이상의 대량처리가 가능한 여과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비전기적 7단계의 막기술에 의해 물에서 99.99999% 이상의 박테리아, 99.999% 이상의 원생동물 및 99.99% 이상의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는 미생물제거 음료수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관의 끝에 폐수처리시스템을 설치하여 오염물이 배출되지 않는 폐회로시스템의 진동분리막 나노여과시스템이 상용화되는 등 미국은 21억달러 상당의 시장성을 가진 미국바이오 분리시장의 가장 유망분야인 분리막여과에 많은 투자와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 우리나라도 고효율성 나노복합막의 제조방법, 휘발성유기혼합물 분리회수용 하이브리드 분리막과 이의 제조방법, 공기주입식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하폐수 제어용 시스템, 여과막 모듈과 가이드가 분리된 형태의 침지형 오폐수 처리 시스템, 대기압 플라즈마를 이용한 중공사 분리막 표면개질방법 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 식품가공분야의 막 기술 활용은 식품의 고부가가치화와 함께 향후의 식품 가공·생물 산업 발전에의 큰 기여가 기대된다. 이를 위해 안정된 막투과 유속 확보를 위한 운전조건 확립, 저압에서의 고투과유속성 고기능성막의 개발 및 운전자동화 시스템 확립 등에 의한 유지관리 부하 경감 및 막분리 방식의 상용화 확대를 위한 현장관련 업체들에 대한 기술지도 등이 중요하다.
- 저자
- Hiroshi NABETAN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79(918)
- 잡지명
- 냉동(A07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280~286
- 분석자
- 조*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