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탄소나노튜브의 성장 프로세스(Growth Process of Carbon Nanotube)

전문가 제언
□ 탄소나노튜브는 직경이 약 1nm 이상, 길이가 약 1μm 이상인 원통형 입체구조로 다양한 나선 구조이면서 직경과 길이의 비율이 1천배 이상이어서, 가운데가 진공인 미세한 실의 형태라고 표현할 수 있다.

○ 카본나노튜브는 나선구조에 따라 금속 성질로도, 반도체 성질로서도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독특한 특징을 가지며, 더구나 입체구조에 의해 전자상태를 변조할 수 있는 물질로서 양자물성에서부터 응용까지 폭넓은 가능성이 제안되고 있다.

□ 탄소나노튜브의 특이한 전자구조를 이용하는 나노전자 디바이스의 개발은 대단한 꿈을 갖는 연구이지만, 이를 공업적으로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전자 구조에 알맞은 나노튜브의 합성 및 원하는 특성을 갖는 나노튜브만을 추출하는 기술 등이 요구되기 때문에 더 많은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 S. Akita 등이 연구 검토하여 고도로 배향된 나노튜브의 성장 초기과정의 메커니즘을 규명함에 따라 고도로 제어된 나노튜브의 성장법으로 기대된다.

□ 우리나라의 경우, 세계 최고 수준의 반도체 공정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므로, 이를 나노기술 개발에 접목하여 응용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나노기술은 여러 분야의 기술이 서로 융합되어야 하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연구 효율성을 위해서는 산학연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컨소시엄 형태로 완전히 밀착되어 연구개발 내용을 상호 공유함으로써 시너지효과를 얻을 수 있는 시스템으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국내에서 나노튜브의 전기적 특성 및 소자 제작 연구는 한국표준과학연구원과 전북대에서 공동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나노튜브의 합성은 삼성종합기술원, 서울대 등에서, 나노튜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관련 연구는 ETRI, 삼성종합기술원 등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다.

○ 일진나노텍이 개발한 탄소나노튜브 신공법은 기존 공법에 비해 생산성이 10배 이상 높아 그동안 탄소나노튜브의 상업화에 제약요소로 지적되어온 수율 문제를 다소 해결하고 있다.
저자
Seiji AKITA ; Lujun PAN ; Yoshikazu NAKAMAY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17(5)
잡지명
Materials integration(E136)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45~51
분석자
황*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