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루미늄 합금 다이캐스팅 기술의 신 전개 (Newest Die Casting Technologies and Its Applications : New Development of Aluminum Die Casting Technology)
- 전문가 제언
-
□ 1915년에 미국의 H. H. Doehler에 의하여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이 상업화한 이래 다이캐스팅의 표면 미려, 치수정밀성, 양산성 등의 특성으로 그 사용량과 용도는 급진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나 아직도 문제점을 많이 내포하고 있다. 문제점으로는 한마디로 고강도·고인성이 요구되는 부품으로 사용하기 어렵고 가스의 혼입이 많아 열처리와 용접이 어려웠던 점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들이 점차 해결되어 가고 있다.
□ 문제 해결을 위한 프로세스로는 저속(층류)충전, 진공(고진공)충전, 세미 솔리드(반응고, 반용융), 고속사출(초고속) 등을 들 수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GM에서 개발한 Acuard법, Muller Weingarten사와 Vaw사가 공동으로 개발한 Vacural법. Alcan-BDW사가 개발한 MFT법(Minimum Full Time Process), Yamaha발동기에서 개발한 CF법(Control Filling Process) 등으로 관련업계는 한없는 연구와 실용화에 노력하고 있다.
□ Nishi씨의 의견과 같이 일본의 JIS 규격이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종류가 14가지이며 이중 ADC12의 사용이 전체의 94%인 것은 재료 개발에 문제가 있다고 본다. 일본을 거론하였으나 한국의 실정도 KS 규격이 거의 일본과 거의 같은 점을 고려하면 같은 처지라고 본다.
□ 지금까지 다른 재료로 사용하던 부품을 다이캐스팅 부품으로 제품 개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설계자, 제작자 및 모든 관련자가 함께 설계, 제작, 시험, 완성후의 시뮬레이션, 자동차 부품인 경우는 현차 시험까지 감안한 계획과 실행이 되어야 한다. 여기에는 많은 자금과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앞으로 우리나라의 주력 상품인 자동차와 전자제품의 국제경쟁력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여러 분야 전문가들이 모여 추진하는 이 부문도 간과 할 수 없는 분문이라고 생각한다.
- 저자
- Naomi Nis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76(4)
- 잡지명
- 주조공학(C058)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66~271
- 분석자
- 이*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