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s)

전문가 제언
□ 스테인리스강은 뛰어난 재질과 의장성능 등을 지닌 철강의 꽃으로 불리는 고부가가치 합금으로서 내식성과 내열성 등의 특성이 우수하여 원자력산업, 화력발전, 석유화학, 자동차, 토목·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스테인리스강은 그 특성이 말하듯 가혹한 환경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스테인리스강 소재를 이용하여 기계류 부품이나 장치를 설계 및 제작할 때에는 품질 확보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용접으로 제작하는 경우 용접결함이나 균열이 발생하면 제품과 환경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선진각국을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석유화학과 에너지 분야에서 사용하는 스테인리스강의 개발에서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성질은 고온내식성, 미세조직의 안전성, 강도 등 기계적 성질, 용접성 및 가공성, 그리고 내방사선 성질(원자력 발전설비의 경우) 등과 같다. 이중에서 스테인리스강의 용접은 일반 강재와는 달리 적정 용접조건의 설정과 용접재료의 선택 기준 등의 용접시공을 엄밀하게 지켜야 하고 소재의 개발 시 용접성을 일정수준으로 갖춘 용접모재와 용접시공 등을 철강회사와 플랜트 제작사가 함께 참여하여 종합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 본문에서 해설한 PWR(pressurized water reactor)의 증기발생기관에 대하여 보충 의견을 제언하면, 증기 발생기 전열관은 원전의 1차와 2차계통의 경계를 이루는 기기로 원전의 안전성 확보라는 관점 외에 보수에 따른 경제적 손실 등 실제 운영상 여러 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일으키므로 따라서 증기발생기의 구조 및 사용 환경에 따른 전열관 재료의 필요한 성질로서
○ 응력부식균열에 대한 저항성
○ 가공성, 용접성, 제관성
○ 열전도 등을 향후의 스테인리스강 개발 시 고려해야 할 것이다.

□ 자동차, 석유화학, 에너지 플랜트 등의 국제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부가가치가 높은 스테인리스강의 국내 개발과 특허 등을 통한 기술력의 확보가 이루어져야 하며 본고에서 제공하는 기술정보는 향후 스테인리스강의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에 좋은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Haruhiko Kajimura, Takeo Kud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53(4)
잡지명
재료와 환경(M178)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72~177
분석자
김*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