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디지털 서보 포머와 마그네슘재의 성형

전문가 제언
□ Ida Engineering에서는 서보 모터의 특성을 응용하여 범용 프레스에서 클러치 기구부와 플라이휠을 없애고 서보 모터를 직결시켜 임의의 속도와 임의의 위치에서 일정시간 정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며, 안전 확보를 위하여 드라이브 축과 서보 모터 간에는 서보 모터의 최대 토크(torque)를 상회하는 브레이크 능력을 가진 브레이크 기구를 장치하여 범용 프레스에서 생산하기에 어려운 재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프레스를 개발하였다.

□ 마그네슘은 결정구조가 최밀육방정구조로 상온에서는 저면 미끄럼밖에 작용하지 않아 성형이 어려운 상태이나 220℃ 이상에서는 주면과 추면이 미끄럼작용을 하여 소성변형이 잘 되는 재질이다. 그러나 얇은 마그네슘 판재에서 이와 같은 판재의 온도 조절은 문제가 있어 디지털 서보 호머를 개발하여 금형사이에서 열전달 방식으로 균일하게 판 소재를 3초 정도의 유지로 온간가공을 하여 프레스성형 한다는 것은 대단한 창의력이라 하겠다.

□ 일본에서는 마그네슘 박판 코일을 제조하기 위하여 Chuou공산(中央工産株式會社)에서는 용해 · 정련 · 주조를 하고, 열간 리패스 압연으로 후판 코일화를 Daido특수강(大同特殊鋼株式會社)에서, 이 후판 코일을 온간 리패스 압연으로 박판 코일화는 다시 Nippon금속(日本金屬)에서 제조하는 일본 국내 네트워크를 완성하여 그 상업 활동을 2002년 4월부터 개시하여 월 생산 5,000kg까지 프레스 성형시장을 개척하여 오고 있다. 이와 같이 3개의 큰 회사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마그네슘 판재를 개발한 것을 “디지털 서보 포머” 프레스로 성형품을 생산하는 것을 볼 때 우리나라도 일본에 못지않은 전자제품(특히 휴대폰)과 자동차를 생산하고 있는 국가로서 곧 일본으로부터 이 마그네슘 코일과 프레스 기계를 수입하여 사용하게 될 것은 짐작이 가고도 남는 현실이다. 아직은 국내에서의 수요가 많지 않아 수지 타산이 어렵겠지만 국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마그네슘의 박판과 프레스의 국내 생산이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저자
Suganuma Toshiharu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3(4)
잡지명
프레스성형가공(J476)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3~29
분석자
이*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