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찰교반접합에 의한 표면개질기술(Surface Modification Process using FSW Technology)
- 전문가 제언
-
□ 21세기의 친환경적이며 에너지 절약형 접합공정인 마찰교반접합기술은 마찰열가공(Friction Thermomechanical Process : FTMP법)에 의한 표면개질에도 적용할 수 있어서 영국과 일본 미국 등에서는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분석자가 1990년대 초기에 TWI를 방문하여 견학했던 마찰교반접합 장비들은 용가재가 필요 없는 표면경화 기술용 기술로 최초 소개를 받았으며 실제 육성용접 실험을 통해 시스템 연구를 수행하고 여기서 얻은 결과를 토대로 장비를 개량하여 현재의 접합용 장비로 발전하게 되었다. 따라서 용가재를 사용하지 않고 품질이 우수한 FTMP법이 실용화되면 알루미늄 합금, 티타늄, 마그네슘, 구리, 니켈합금과 같은 비철금속의 표면경화 작업에 활발히 응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 현재 FTMP법은 비철금속의 표면경화 작업에 사용되는 다른 표면개질 기술에 비해 표면개질층의 경도와 두께 등에서 부족한 점을 보이고 있다. 분석자가 특허를 취득한 ‘PTA(Plasma Transferred Arc) 분체육성법을 사용한 알루미늄 합금의 후막경화기술’에서 얻은 AC8A 알루미늄 합금제 piston top ring groove의 합금화층은 경도가 210~245Hv이고 두께가 7~8mm이며 고온 내마모성도 우수하다. 따라서 FTMP법을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고온에서의 물성치 평가를 포함한 더 많은 기술개발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 자동차, 철도차량, 조선, 전기/전자와 같은 분야시공에서 아크용접과 저항 점용접 등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선진국과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후발국의 추격에 대비하는 차원에서 첨단 생산기술인 마찰교반접합 기술에 대한 개발과 자료의 구축에 주력해야 하며, 또한 미래의 고부가가치 표면개질 기술인 FTMP법에 대해서도 연구가 필요하다. 이런 면에서 일본의 Nagoya 대학교에서 정리한 기술한 마찰교반법에 의한 표면개질기술의 내용은 매우 유익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저자
- Takeshi Shinod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52(5)
- 잡지명
- 용접기술(A11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62~66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