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비쿼터스 ID 기술의 내용과 적용 사례
- 전문가 제언
-
□ 현재 정보기술은 물리적인 공간과 컴퓨팅 기반의 가상 전자공간을 융합한 새로운 유비쿼터스 컴퓨팅 공간을 창출함으로써, 인간의 생활을 보다 더 생산적이며 풍요롭게 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 초소형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은 실제 세계 공간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지능적 서비스를 실현하려고 한다. 컴퓨팅, 네트워킹, 미들웨어 등 기반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및 네트워크 기술에 대한 연구가 세계 각국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 미국의 경우, 1988년 Xerox Co.에서 시작한 “유비쿼터스 컴퓨팅 프로젝트”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장소 중심의 리얼 컴퓨팅 구현을 추구하고 있다. 한편 일본의 경우, 1984년 Tokyo University에서 시작한 “TRON 프로젝트”를 출발점으로 하여 2005년에 완료 예정인 “ucode-네트워크 프로젝트”에 이르기까지 “어디서나 연결(anywhere connection)"을 추구하고 있다.
□ 우리나라의 경우, 과학기술부에서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향후 10년간 수행하게 될 “유비쿼터스 컴퓨팅 및 네트워크 원천 기반기술 개발 사업”을 시작하는 단계에 있다.
- 저자
- N.KOSHIZUK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4
- 권(호)
- 22(4)
- 잡지명
- 컴퓨터와 네트워크랜(N32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6~12
- 분석자
- 장*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