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점 화상에서의 자유시점 영상의 생성과 제시
- 전문가 제언
-
□ 자유시점 영상이란 카메라의 촬영시점을 영상 미디어의 시청자 측이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영상으로 최근에 와서 그 기술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자유시점 영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시점 위치의 제약이 없는 시점 설정의 자유도를 높이고, 시점 결정권을 영상 시청자 측으로 돌리는 시점 결정의 자유도를 높여나가야 한다. 전자의 경우는 실제로 촬영한 카메라시점 이외의 새로운 시점에서 영상을 만족스러운 화질로 합성하는 기술이 목표이고, 후자는 영상 배신 기술(配信技術)과 제시 기술이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다.
□ 일반적으로 Image Based Rendering이란 여러 대의 카메라로 동일 신을 촬영하는 다시점 화상이나 1대의 카메라를 움직이면서 동일 신을 촬영하여 화상열로부터 임의시점 화상을 합성하는 수법을 말한다. 여기에는 형상 모델의 복원에 따른 수법인 모델 베이스법과 화상 이동에 따른 수법인 트랜스퍼 베이스법이 있다.
□ Image Based Rendering 내의 한 수법인 모델 베이스법은 입력 다시점 화상과 화상열로부터 대상 신의 3차원 구조 모델을 복원하고, 3차원 모델 표면에 입력 화상을 텍스처 매핑함으로써 시점을 자유롭게 변화시켜 대상 신을 재현하는 수법이다. 다른 한 수법은 트랜스퍼 베이스법으로 입력 다시점 화상과 화상열의 화소 위치를 이동시켜 입력 화상과는 다른 시점으로부터의 화상을 합성하는 수법이다.
□ 3차원 모델 복원에는 실루엣에 의한 시체적 교차법이 유효하다. MIT의 Mutsik 등은 4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각 카메라에 촬영된 대상의 실루엣으로부터 Visual Hull을 얻을 때 3차원 체적 공간으로 Visual Hull을 구하는 대신 실루엣으로부터 화상 간의 에피포럴 기하관계를 이용하여 Visual Hull을 구하고, 이를 IBVH(Image Based Visual Hull)이라고 이름 붙였다. 최근에는 이러한 자유시점 영상 생성 기술을 이용한 새로운 방송 영상 제작도 시도되고 있다.
- 저자
- SAITO, Hide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4
- 권(호)
- 42(4)
- 잡지명
- 광기술콘택트(N14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80~189
- 분석자
- 이*요
- 분석물
-